“감기에도 위장약 2조 원”…국민 10명 중 8명 ‘자동 처방’

2025-10-14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이 지난해 위장약을 처방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기 등 소화기계 질환이 아닌 질환에서도 ‘예방용’으로 위장약을 관행적으로 함께 처방하는 관행이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백종헌 국민의힘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위장약 처방 인원은 약 43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84%, 약물 처방 환자 중 91%에 달했다. 위장약 약품비는 2조 159억 원으로 전체 약품비의 7.3%으로 집계되면서 2019년에 비해 33.3% 증가했다.

같은 기간 위장약 처방량은 17.9% 늘어나 국민 1인당 연평균 165정이 처방된 것으로 집계됐다. 1일 3회 복용 기준으로 약 두 달간 복용량에 해당한다. 전체 국민 중 연평균 200정 이상 처방받은 사람도 19.9%에 달했고 이들의 평균 처방량은 650정(약 7개월분)으로 집계됐다. 최대 3만 1590정을 처방받은 사례도 있었다.

특히 호흡기 질환 환자의 위장약 처방률(82.5%)이 소화기계 질환 환자(78.7%)보다 높았다. 감기(급성 상기도 감염) 환자의 63.6%가 위장약을 함께 처방받았고 이로 인한 약품비만 603억 원에 달했다. 전체 위장약 처방 3건 중 1건(33%)은 호흡기 질환 환자에게 발행됐고 해당 약품비는 2000억 원 수준으로 추산했다.

위장약 처방은 주로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이뤄졌다. 전체 외래 처방 중 의원급이 52.9%, 병원급이 56.6%로 상급종합병원(31.4%)이나 종합병원(45.5%)보다 높았다. 특히 호흡기 질환 환자에서의 위장약 처방률은 의원급 60%, 병원급 46.3%로 상급병원 대비 두 배 수준이었다.

백 의원은 “위장약은 전체 약품비의 7%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불필요한 동반처방은 국민 건강과 재정 모두에 부담이 된다”며 “과도한 규제보다는 필요한 경우에만 적정 용량·기간으로 사용되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의료계 인식 개선과 근거 기반 가이드라인을 보완해야 한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