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 4곳 중 3곳이 차기 대통령이 갖춰야 할 능력·조건으로 ‘경제성장 견인능력’을 꼽았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달 21일부터 25일까지 중소기업·소상공인 604개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기업의 75.7%가 차기 대통령은 경제성장 견인능력을 꼭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답변했다.
차기 대통령이 설정해야 할 국정 방향으로는 제일 많은 48.0%가 ‘내수활성화와 민생 안정(48.0%)’을 선택했다. 이어 ‘노동개혁과 일자리 창출(45.7%)'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위기 극복(36.6%)' ‘기업혁신과 규제 완화(24.5%)' ‘수도권과 지역 불균형 완화(19.2%)' 등의 순이었다.
중기중앙회는 차기 대통령이 중점 추진해야 할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과제의 경우 3개의 분야로 나눠 조사했다. 지속가능한 일자리 부문에서는 ‘청년고용 지원’이, 성장동력 확보 부분에서는 ‘금융지원 확대, 벤처투자 활성화’가 경제생태계 순환 부문에서는 ‘지방 중소기업에 대한 특화산업 육성, 인력, 금융지원’이 가장 중요한 정책과제로 선택됐다.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정책 추진 시 제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가치는 ‘성장(31.3%)' ‘공정(24.0%)' ‘일관성(17.7%)' ‘혁신(17.5%)' ‘분배(9.4%)' 등이라고 응답했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중소기업계는 차기 대통령이 대내외 불확실성 심화로 인해 침체된 경제상황을 빠르게 회복시키기를 바란다”며 “내수 활성화와 민생 안정을 국정 방향으로 정하고 중소기업계의 숙원 과제가 후보의 공약에 반영돼 중소기업이 위기를 극복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