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지난달 말 백악관에 서한을 보내 반도체 관련 세액공제 범위를 넓혀달라고 요청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7일(현지시간) 오픈AI 홈페이지에 게시된 서한에 따르면, 회사는 반도체법(칩스법) 상 투자세액공제를 받는 대상을 반도체 제조 이외 관련 공급망으로 확대해달라고 요청했다.
언급된 분야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AI 서버 제조, 변압기와 특수강 등 전력망 구성품 등이다.
오픈AI는 “투자세액공제 대상 확대는 실질적 자본 비용을 낮추고 초기 투자 위험을 완화하며 민간 자본을 유치해 병목 현상을 해소하고 미국 내 AI 구축을 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인 2022년 제정된 칩스법은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 25%의 세액공제를 지원하는 법이다.
올해 7월에는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에 따라 세액공제 폭을 35%로 확대됐다.
오픈AI는 서한에서 최근 논란이 일었던 정부의 보증 등 방안도 언급했지만, 자사에 대한 보증이 아니라 제조업체에 대한 보증이었다.
오픈AI는 정부가 중국에 맞서 미국 내 제조업체에 보조금 지급, 비용 분담 협정, 대출 또는 대출 보증 등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픈AI는 이와 같은 재정 지원이 구리, 알루미늄, 전기강판, 희토류 원소, 반도체 원자재 등에 대한 중국의 '시장 왜곡'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지적했다.
또 직접 자금 지원은 변압기를 비롯한 핵심 전력망 부품의 생산 기간을 줄이는 데도 도움을 준다고 덧붙였다.
이 서한은 크리스 리헤인 오픈AI 최고대외협력책임자(CGAO) 명의로 지난달 27일 발송됐으며, 수신인은 마이클 크라치오스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이다.
이 서한은 세계적으로 엄청난 인기를 누리고 있으면서도 아직 이익을 내지 못하는 오픈AI가 막대한 비용이 드는 AI 투자와 관련해 지속해서 연방 정부의 지원을 구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예시다.
앞서 새러 프라이어 오픈AI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한 콘퍼런스에 참석해 정부가 AI 칩 조달 비용을 보증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고 발언했다가 역풍을 맞았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AI 정책을 총괄하는 'AI 차르' 데이비드 색스 백악관 과학기술자문위원장은 “AI에 대한 연방정부의 구제금융은 없다”고 못 박았다.
새러 프라이어는 곧바로 자신의 발언을 철회했다.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오픈AI 데이터센터에 대한 정부 보증을 보유하고 있지도 않고 원하지도 않는다”고 해명했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



![만년적자였던 플리토의 반전…빅테크 러브콜 받는 '백조'로 변신 [빛이 나는 비즈]](https://newsimg.sedaily.com/2025/11/08/2H0DI0ZBZR_1.jpg)

![전문가 “韓 부동산세 OECD 32위…거래세 완화 시급” [AI 프리즘*부동산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8/2H0DH0CQZR_1.jpg)

![[단독] 정부, R&D 지원·팁스 선정때 퇴직연금 가입 기업 우대](https://newsimg.sedaily.com/2025/11/09/2H0DZF9O0T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