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ood+ 수출, ODA로 확장한다…정부·민간 협력 모델 추진

2025-07-16

정부가 K-Food+ 수출 전략을 공적개발원조(ODA)와 연계해 본격 확장한다. 단순 농식품 수출을 넘어 생산·유통 인프라를 구축하고 민간기업 진출과 연계한 통합 지원체계를 가동하겠다는 구상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서울 aT센터에서 주요 수출기업 및 유관기관과 함께 'K-Food+ 수출 확대 및 국제농업협력사업(ODA) 연계 방안'을 주제로 민·관 간담회를 열었다고 16일 밝혔다. K-Food+는 농식품뿐 아니라 스마트팜, 농기자재, 동물용의약품 등 전후방 산업을 포함한 통합 브랜드다. 간담회에는 CJ제일제당, 풀무원, 오뚜기, 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 한국작물보호협회 등 13개 기업과 단체가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는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한 국제농업협력사업과 우리 수출기업의 해외 진출 전략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려는 첫 시도다. 기업들은 현지 진출 시 겪는 애로와 ODA 활용 방안을 공유했고 농식품부는 이를 바탕으로 민간 수요 기반의 협력 모델을 구성할 계획이다. 이후 협력국 정부와 협의를 거쳐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오는 2028년부터 본격 사업에 착수할 방침이다.

대표적 모델로는 고품질 원료를 협력국에서 ODA를 통해 생산하고 이를 국내에서 가공해 역수출하는 형태가 있다. 또 ODA로 현지 생산·가공·유통 인프라를 조성한 후 국내 종자, 비료, 농기계 등 농자재를 공급하고 기술지원 서비스까지 함께 수출하는 방식도 검토 중이다.

농식품부는 이미 베트남에서 진행한 '무병 씨감자 생산 및 보급시스템 구축사업'을 통해 현지 기업의 원료공급망 확보 성과를 낸 바 있다. 이 사업에서는 ODA로 감자를 생산하고, 씨감자는 협력국이 활용하는 한편 일반 감자는 현지 진출한 한국 식품기업이 매입해 가공제품 생산에 활용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기업 관계자는 “국가별 비관세장벽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ODA가 기업의 직접투자를 보완해주는 방식은 K-Food+ 수출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밝혔다.

정혜련 농식품부 국제협력관은 “K-Food+ 수출은 농업 소득 확대뿐 아니라 국가브랜드 제고와 식품산업 연계에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국제농업협력사업을 수출성과로 이어가려면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핵심인 만큼, 현장 의견을 정책에 충실히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추가 협의회를 열고 업종별 민간 수요를 정리한 뒤 사업화 가능한 협력 모델을 정리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공적개발원조의 실효성과 수출성과를 동시에 높이는 '수출 연계형 ODA' 전략을 체계화할 방침이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