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 인하를 시사한 가운데 중국도 반도체 등 미국산 품목에 대한 125% 추가 관세를 철회했거나 철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치킨게임을 이어가던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전환점을 맞이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25일 미국 CNN과 중국 차이징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산 반도체 관련 면세 조치가 이미 무역 현장에서 이뤄지기 시작했으며 의료 장비와 에탄 등에 대한 면제도 검토되고 있다.
CNN은 수입 대행업체가 통관 과정 중 미국산 반도체 8종에 대한 면세 철회 통보를 받았으며, 당국의 공식 발표 없이 조용히 이뤄졌다고 보도했다. 중국 SNS 등을 통해서는 반도체 칩과 장비 등에 대해 관세가 면제됐다는 사진이 확산됐다. 중국은 이미 관세를 납부한 경우 환급 조치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메모리집은 이번 관세 면제 대상에서 제외됐다.
블룸버그통신은 의료 장비와 에탄 등 산업용 화학제품 등 품목도 관세 면제를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중국의 일부 공장들은 미국산 에탄에 플라스틱 생산을 의존하고 있다. 중국 병원들도 미국 기업이 생산한 MRI 등 고급 의료 장비에 미국산을 사용 중이다.
중국의 미국산 제품 관세 면제 및 면제 검토로 인해 양측이 공식적인 협상 테이블에 앉게 될 가능성이 커졌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145%의 관세를 부과했으며 중국도 이에 맞서 125%의 보복관세를 부과했다.
양측의 강대강 대치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혼란에 빠지자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 중국에 대한 145% 관세는 너무 높다며 낮출 의향이 있음을 시사했다. 이어 23일에는 “향후 2~3주 이내 중국에 대한 관세 수준을 결정할 수도 있다”며 “중국과도 특별한 협상을 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말하며 유화적 입장을 내놨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도 “지금과 같은 높은 관세는 지속가능하지 않다”며 한발 물러섰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