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중앙권력 강화로 얻는 게 뭔가

2025-11-25

민주당이 지난주 개정 의결한 당헌·당규 내용이 당의 중앙 권력 강화 가능성을 높이는 모습이다. 이미 당대표가 총선 공천권을 장악하고 있는 현실에서 국회의원을 비롯한 지역위원장들이 그나마 숨 쉴 틈을 얻고 있는 대의원들의 투표권 지분을 권리당원과 1대1로 내리고 있다.

지역위원장은 대의원을 중심으로 지역당을 이끌어가고 대의원들은 당 내외 소통과 지지자들의 총의를 묶는 지역당의 기관차이자 책임 구성원이다. 그들이 당 조직을 짊어지는 조직의 근간인데 자치단체장과 도·시의원 선거 그리고 국회의원과 당대표, 최고위원 등 선출에서 주요한 지분을 갖지 못한다는 것은 커다란 박탈이요 자긍심의 상실이다.

지역위원장인 국회의원은 그 지역을 대표하는 지역 일꾼이기도 하다. 국사와 더불어 지역발전에 매진해야 할 지역의 머슴이라는 뜻이다. 국회의원의 지방 일에 손발이 되어 주어야 할, 급여를 받지 않는 무료 봉사 당무자가 바로 대의원이다. 일반 권리당원들이 그런 역할을 해 낼 수 없다.

더 중요한 것은 당대표가 직접적으로 지역당에 명령 복종적 거버넌스를 행하고 자치 단체장들을 관장하려 하는 파행적 당 운용이 될 수 있음도 경계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자치단체장 예비후보 심사를 시도당이 아닌 중앙당에서 진행하게 되어 이들이 새벽 차를 타고 서울로 가는 원행 길이 무슨 훈련시키기를 연상시킬 수도 있다.

신인들의 정치 진입로가 막히게 되니 지방선거에 출마하려면 서울로 가서 당대표와 당직자들에게 고개 숙여야 할 애달픈 정경도 목도할지 모른다. 특히 호남은 더불어민주당 일색이니 호남선의 열차, 고속버스, 자가용이 국철과 고속도로를 통과하며 교통비깨나 버리는 희화도 도외시할 수 없다.

정청래 대표는 호남 칭송자다. 그러한 칭송만큼 또 전북의 연고가 있다고 했다. 새로운 당헌·당규가 지방에 부담을 주고, 지방자치에 적격의 공직자들이 선출되지 못하도록 막는 규정은 당에 극독이 될 수 있음을 유의할 때다.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