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덴티움은 태국 방콕에서 ‘2025 덴티움 임플란트 엑셀런스 포럼(Dentium Implant Excellence Forum)’을 성료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디지털 미니멀리즘(Digital Minimalism)’이라는 컨셉을 중심으로 브라이트 임플란트(bright implant) 시스템과 디지털 워크플로우(digital workflow), 소프트 티슈 매니지먼트(soft tissue management) 등의 솔루션을 제시했다. 임플란트 수술 과정을 간소화하면서 결과를 구현할 수 있는 전략에 초점이 맞혀졌다.
포럼의 첫 강연은 수폰텝 교수(Asst.Prof.Dr. Supontep Teerakanok, Prince of Songkla University)가 임플란트 성공의 핵심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이어갔다. 수폰텝 박사는 "조직 증강의 타이밍이 임플란트의 밝기를 결정한다”며, 브라이트 임플란트의 장점을 극대화하는 술식은 ‘언제 증강할 것인가’를 아는 데서 출발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성민 원장(덴티움치과)이 다음 연자로 나섰다. 디지털 기반의 임플란트 시스템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브라이트 임플란트가 단순화된 수술 프로토콜과 골 유착, 보철 연결 안정성을 바탕으로 복잡한 과정을 줄이면서도 정밀도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음으로 타차콘 박사(Dr. Tachakorn Kuntiyaratana, Chulalongkorn University)가 브라이트 임플란트의 새로운 설계가 어떻게 치료 진행과 초기 안정성을 가능케 하는지를 중심으로 발표했다.
마지막 강연으로는 펜폰 박사(Dr. Penporn Luangchana, Mahidol University)가 브라이트 가이드 키트(bright Guide Kit)의 통합 활용을 통해 어떻게 시술 정확성과 환자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지를 임상 사례와 함께 공유했다.

이날 마지막 세션으로 진행된 핸드온(Hands-on) 실습에서는 수폰텝 박사와 펜폰 박사가 직접 핸즈온을 지도하며, 참가자들에게 체험의 기회를 제공했다.
덴티움은 이번 포럼을 통해 브라이트 임플란트 및 디지털 시스템 기반의 임상 전략을 아시아 지역에 최적화하여 소개함으로써, 제품 중심이 아닌 치료 솔루션 중심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고 전했다.
덴티움 관계자는 “이번 포럼은 단순한 제품 홍보가 아닌, 현지 의료진과 함께 실질적인 임상 개선 방향을 모색한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임상 기반 포럼을 지속 개최해 덴티움의 철학과 기술력을 널리 알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수민 기자 osm365@datanews.co.kr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