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상황, 기지국·사람 더 늘려라" 탄핵 선고에 통신·플랫폼 업계도 초긴장

2025-04-03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하루 앞두고, 통신·플랫폼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당시나 지난해 비상계엄 선포 때 트래픽 폭증으로 서비스 장애·지연이 빚어진 바 있어, 각사마다 비상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통신사, 헌재에 장비·인력 추가 투입

통신업계는 탄핵 관련 찬반 집회가 시작된 지난해 말부터 이미 광화문·헌법재판소 인근 등 주요 지역에 장비와 인력 등을 추가 배치하며 집중 관리 중이다. 탄핵 심판 선고 당일인 4일엔 집회 현장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뉴스를 확인하거나 메시지를 주고받으려는 시도가 폭증할 수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당일 대규모 집회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기존 장비 사전 최적화와 추가 개통도 진행했다. 현장에 이동기지국을 배치하고 특히 시민과 회사 구성원들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지난해 말부터 현장 모니터링 강화 등 탄핵 집회 관련 대응 체계를 가동해 왔다. KT는 인파 밀집이 예상되는 지역 통신망 점검을 진행하고, 기지국을 증설한다. 또 모니터링 강화를 위해 비상상황실을 운영하며 상황에 맞춰 즉시 이동기지국을 추가 배치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 역시 “이동 기지국, 임시중계기, 발전 장비 등을 이미 지난해 연말부터 추가로 설치했고 상주 인력을 배치했다”고 밝혔다.

카카오·네이버, 서버 늘리고 비상 대응 체계 구축

플랫폼 업계도 대응에 나섰다. 카카오톡 메신저와 다음 검색, 카카오T를 통한 택시호출과 지도 서비스 등을 모두 가진 카카오는 비상계엄 당시와 같은 일부 서비스 지연 사태를 막기 위한 대응 체계를 마련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트래픽 변동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서버 등 인프라를 확충했다. 장애를 막기 위한 여러 기술적인 조치를 통해 비상상황에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몰려든 인파가 해산할 때는 카카오T나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에 트래픽이 몰릴 수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인파가 몰리는 지역에 대해 집중 모니터링을 실시할 예정이며, 특이상황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실시간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또 카카오 내비의 경우 경찰청 등과 비상연락체계를 구축해 실시간 교통 현황을 즉시 반영할 예정이다. 고객 불편 최소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네이버 역시 주요 서비스에 대한 사전점검에 나섰다. 네이버 측은 “예견된 상황인 만큼 메인화면과 뉴스, 카페 등 주요 서비스별로 트래픽 폭증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