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억개 셀 중 하나도 놓치지 않는다…배터리 안전성 확보에 민·관 '맞손'

2025-07-08

“수십억 개의 셀 중 하나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고객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자동차 제조사가 해야할 일”(정창호 현대차그룹 배터리성능개발실장)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기업의 기술 발전에 제도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민간기업, 학계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할 예정”(박용선 국토교통부 자동차정책과장)

국토교통부와 현대차그룹이 8일 제주 서귀포시에서 열린 ‘글로벌 e-모빌리티 네트워크 포럼’에서 배터리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한목소리를 냈다. 배터리 신뢰도를 높이는 것을 전기차 확산의 선결 조건으로 규정하고, 이를 위해 기술 개발은 물론 민관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목표다.

우선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극복을 위해 차량에 탑재되는 배터리 형태를 다양화한다는 방침이다. 정창호 현대차그룹 배터리성능개발실장은 “니켈·코발트·망간(NCM) 기반 파우치 폼팩터 중심으로 탑재됐던 배터리를 리튬·인산·철(LFP)과 각형 파우치로 확대하고 있다”며 “(안전성을 위해) 다양한 배터리를 형태를 다양하게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LFP 배터리와 각형 폼팩터는 다른 폼팩터에 비해 안전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배터리 안전진단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도 강화한다. 정 실장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다중 안전망 구축을 기본 방향성으로 설정하고 있다”며 “특히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통해 주차 중인 상황에서도 미세한 변화를 감지하고, 사전에 배터리에 대한 정밀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안까지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실장은 향후 로봇과 UAM(도심항공교통)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기술 개발에도 힘을 쏟겠다고 덧붙였다.

정 실장은 “현재 배터리 부문에 종사하는 직원 중 가장 많은 인력이 배터리 안전에 투입되고 있다”며 “고객의 안전 확보를 기본으로 배터리 기술 차별화를 달성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토부는 기업과 협력해 전기차를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다. 지금까지 정부는 전기차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여러 제도들을 마련해 왔다. 제작 단계에서부터 인증제도를 통해 제조사들의 배터리 안전성을 사전에 검증하며, BMS 성능 등을 평가해 결과를 공개한다. 개별 배터리에 식별 번호를 부여해 교체 여부 등을 확인하는 이력 관리제도도 추진해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기업과의 협력도 강화한다. 박용선 국토교통부 자동차정책과장은 “BMS가 배터리 이상현상을 감지하고, 소방청에 자동으로 알리는 기술을 현대차·기아, BMW의 차량 4만 대에 적용하고 있다”며 “제작사 측과 협력을 강화해 사업을 확장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기차 화재는 2021년 전기차 보급이 본격적으로 확산하면서 지속 확대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6월까지 국내에 발생한 누적 전기차 화재는 189회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48억 4100만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이건율 기자 yul@sedaily.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