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정무위윈회 김승원(민주·수원갑) 의원은 올해 국감에서 국민 생활과 밀접한 현안만 콕콕 집으며 ‘민생 국감’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수원 숙원사업 해결사라는 별명답게 수원시 장안구 현안을 명확히 짚으며 지역 민심을 살뜰히 살피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지난달 16일 국가보훈부 국감에서 경기도에 전국 보훈대상자 21만 명이 거주함에도 보훈병원이 부재해 의료 사각지대가 심화된 것을 지적하며 수도권 과밀 해소와 고령 유공자 의료권 보장을 위해 경기도 남부 보훈병원 신설과 병상 확충 계획 마련을 촉구했다.
그는 보훈병원 병상비율을 자료로 제시하며 “중앙은 병상 1개당 환자수가 506명, 인천 보훈병원에는 803명으로 돼 있어 경기 남부권 보훈병원 설립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달 23일 한국자산관리공사 국감에서는 윤석열 전 정부의 헐값 국유지 매각을 비판하고 국공유지 개발·교환을 통한 자산 가치를 장기적으로 높일 것을 요청했다.
그는 자신의 지역구인 수원 장안구 정자동 유휴부지 사례를 지적하며 국공유지 교환과 (가치 증진을 위한) 위탁개발 복합 추진에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갑자기 경찰청에서 이 부지를 매입해 아파트 단지 학생들이 많이 다니는 곳에 기동단을 설치하겠다고 해 주민들 반발이 심하다”며 “어떻게 이런 일들이 주민 의견 반영도 없이 이뤄지냐”고 비판했다.
지난달 28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종합감사에서는 로봇 청소기가 가정 내 데이터를 촬영·수집하는 특성상 개인정보 유출이나 사생활 침해 우려가 클 것으로 보고 실효성 있는 대응 강화를 촉구했다.
김 의원은 “로보락(중국 제조사)은 개인정보를 자국 내 서버에 저장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지만 중국 데이터보안법상 정부 요청 시 정보 제공 의무가 있어 국민의 우려와 불안이 높다”며 “개인정보 처리 방침이나 개인정보 위탁 문제에 대한 해명이 충분치 않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해외 제품들의 데이터를 한 군데 모으는 방법이나 한국 법에 따르는 한국법인을 설립하는 방법 등으로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실질적 대책을 제안했다.
[ 경기신문 = 한주희 기자 ]
![[2025 국감] '여가부와 北 연결' 넥스트클럽 논란에 원민경 "확인 후 적절한 조치"](https://img.newspim.com/news/2025/11/04/251104144733946_w.jpg)
![[2025 국감] 원민경 "'불법인 사람'은 없어…불법체류자도 성폭력 피해 지원"](https://img.newspim.com/news/2025/11/04/251104151935832_w.jpg)
![[단독]헌재 “헌법소원 대상에 법원 재판 포함될 수 있다” 국회에 의견서 제출](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1/05/news-p.v1.20251104.6d0da3822bc44005a06dd23876031f33_P1.webp)
![[종합] 성평등부와 함께 부활한 '정책 국감'…"성착취물 선제 삭제·청소년 흡연 막겠다"](https://img.newspim.com/news/2025/11/04/251104180215937_w.jpg)

![[PICK! 이 안건] 김소희 등 15인 "어린이집 부근도 교육환경보호구역에 포함되도록 해야"](https://www.jeonmae.co.kr/news/photo/202511/1199322_912588_019.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