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정부, 핵융합에 4억 파운드 투자, 불, EPR 6기 투자보류 결정
미국 넥스트라 에너지가 2024년 자사의 실적 발표를 통해 LOWA 주에 있는 2020년 10월 폐쇄한 Duane Amold 원전(624 MW. BWR) 재가동 신청서를 원자력규제위원회에 제출하였다고 발표했습니다.
재가동 사업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2028년 재가동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 원전은 1975년 상업운전을 시작했습니다.
샌티 쿠퍼사는 2017년 건설을 중단한 Jenkinsvile 에 있는 V.C Summer 2.3호기의 인수와 완공을 포함한 대안을 제시해 달라는 제안요청서를 올해 5월5일까지 접수합니다. 이프로젝트는 2013년 착공했으나 2017년 7월 공사가 중단되었으며 주정부가 전력수요에 대비하여 프로젝트 활성화 방안을 권유하고 있기 때문에 취해진 조치라고 합니다,
1월 14일 미 국무부는 태국고등교육과학연구혁신부와 태국 방콕에서 민간 원자력 분야 협력을 위해 123협정을 체결하였습니다. 이 협정은 태국의 소형모듈원전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고 합니다.
1월 15일 미 에너지부는 싱가폴 통상산업부와 민간원자력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였습니다. 양해각서는 24년 12월에 발효한 123협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미국 웨스팅하우사가 캐나다 뉴브런스윅 주에서 원전을 건설하기 우해 이지역 부족협의회와 양해각서를 1월15일 체결하였습니다. 소, 대형 원전 모두를 건설하는 방안을 담고 있습니다.
미국 Constellation사가 미국내 천연가스와 지열 사업을 영위하는 Calpine 사를 약 164억 달러(약24조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고 1월10일 발표했습니다. 이 회사는 인수를 위해 5천만주 주식과 45억달러 현금을 지불하기로 했습니다. 총 거래 금액은 164억 달러이나 실제 순 매수가치는 266억 달러에 이른다고 합니다.
슬로베니아 국영에너지 기업 GEN 에너지는 1월 29일 크로스코 원전 2호기 건설 타당성 조사를 불란스 EDF와 미국 웨스팅하우사와 약 830만 유로(약 120 억 원)에 체결하였습니다.
입찰후보였던 한수원은 사업우선순위변경을 이유로 해당 사업에서 철수하였다고 합니다. 이 사업은 2040년 상업운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폴란드 국영 전력회사 PGE는 1월 23일 자국의 전력히사와 한수원이 2800 MW 원전을 건설하기 위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의 지분을 100% 인수하기로 구속력 없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2023년 4월 설립한 특수목적법인의 지분을 한수원이 50%를 갖고 있습니다.
영국 정부는 1월 16일 핵융합분야에 4억1천만 파운드 (약 7천3백억 원) 를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올해부터 내년까지 영국 정부는 구형 카토막 건설사업, 핵융합 기술 개발 및 역량 구축 사업, 핵융합에너지센터 내 핵융합장치 용도변경, 원자력청의 기존시설보완 등에 투자합니다.
프랑스 감사원은 EDF가 추진하고 있는 EPR2 6기 건설사업에 대해 1월 14일 최종투자결정 보류룰 권고했습니다. 사업의 예상수익 자료를 제공하지 않았고 자금조달, 유럽위원회 승인 기간 등을 이유로 투자결정을 보류하도록 하였습니다. 해당 사업은 애초 517억이 들어가는 것으로 했으나 23년 674억 유로로 비용이 늘어났습니다.
폴란드와 캐나다 양국 총리는 1월 29일 바르샤바에서 원자력협정을 체결하였습니다.
베트남은 1월 13일 러시아와 Ninh Thuan 원전 프로젝트 추진을 포함한 원전 강화협정을 체결하였습니다. 베트남은 현재 러시아와 원전 전반에 대한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베트남은 2009년 Ninh thuan 원전을 러시아와 일본과 계약을 체결하기로 했으나 2016년 재정부담을 이유로 무제한 연기한바 있습니다.
카자흐스탄이 최초로 원전을 건설하기 위해 최종 건설 후보 업체를 1월 23일 발표했습니다. 한수원 , EDF, 러시아 로사톰. 중국의 CNNC 4개 기업입니다. 카자흐스탄은 지난해 10월 원전건설 찬반 투표를 실시한 결과 국민들의 71.2%가 건설에 찬성하였습니다.
일본 산케이 신문은 1월 29일 원전해체를 위한 신기술이 개발되었다고 보도 했습니다. 이 기술은 원전 방류수에 포함된 삼중수소를 24시간 연속 측정하는 기술과 고선량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영상촬영이 가능한 특수카메라를 개발했다고 합니다.
이기사는 에너지경제연구원, 월드 원전뉴스 등을 자료로 작성하였습니다.
저작권자 © 한국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