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적으로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오픈AI '챗GPT' 사용자가 월 5억명을 기록한 데 이어 구글 '제미나이'는 3억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현지시간)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3월 기준 제미나이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3억5000만명 규모였다. 수치는 현재 미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구글의 온라인 검색 시장 독점 해소를 위한 재판 과정에 공개됐다.
지난달 일간활성이용자수(DAU)는 3500만명 수준으로 지난해 10월 DAU 900만명 대비 5개월 만에 급증한 것이다. 구글이 제미나이 2.5를 출시하는 등 AI 성능 고도화를 이끌어낸 결과로 풀이된다.
하지만 오픈AI 챗GPT의 사용자 수가 이를 압도했다. 오픈AI는 3월 말 기준 MAU가 5억명을 돌파했다고 공식화했다. 지난해 연말 3억5000만명 수준에서 3개월간 40% 이상 늘어난 것이다.
글로벌 시장에 '지브리' 그림체 열풍을 몰고온 이미지 생성 AI 모델 '챗GPT-4o 이미지 생성' 등이 주효했다. 지난달 25일 오픈AI가 이미지 생성 모델을 공개한 이후 국내에서도 DAU가 2주 전 대비 20만명 이상 늘어난 125만2925명으로 집계됐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TED 2025 대담에서 “세계 인구의 10%가 우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픈AI는 올해 챗GPT 사용자 수가 10억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라마 등 메타의 AI 서비스 사용자도 증가세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지난해 9월 “메타 AI MAU가 5억명에 육박했다”고 말했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