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인코리아닷컴 길태윤 기자] 동남아 최대 규모의 ‘코스모뷰티 인도네시아 2025’(Cosmobeauté Indonesia 2025’)가 10월 9일부터 11일까지 자카르타 ICE (Indonesia Convention Exhibition, BSD City)에서 공식 일정을 시작했다. 코스모뷰티 시리즈 가운데 말레이시아, 베트남에 이은 인도네시아 개최다.
올해 18회째로 17개국 500여 개 기업이 참가, 1300개의 뷰티 제품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회는 ‘포용적인 아름다움, 지속가능한 미래’(Inclusive Beauty, Sustainable Future)를 주제로 친환경과 윤리적인 뷰티산업으로의 전환과 협력을 강조한다.
코스모뷰티 인도네시아의 포트폴리오 디렊터 Juanita Soerakoesoemah는 “판촉행사일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뷰티 산업의 글로벌화를 주도하려는 전략적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코이코가 주관한 한국관(Korea Pavilion)에는 K-뷰티를 대표하는 화장품, 스킨케어, 미용기기, 에스테틱 등 40여 기업이 참가했다. 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지원 하에 6개 기업 및 부경대 GTEP사업단이 현장 부스 운영을 지원해 바이어와의 미팅을 진행했다.
코이코에 따르면 참가 기업들은 현지 트렌드와 소비자 니즈를 반영한 혁신 제품을 선보였으며, 전시기간 동안 활발한 상담과 계약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5홀은 화장품 완제품관으로 코스맥스 인도네시아(COSMAX Indonesia)를 비롯한 주식회사 기베스트(GIBEST), 주식회사 엘케이코스메틱(LK COSMETICS) 등이 기능성 화장품과 기술을 선보였다.
6홀 에스테틱관은 케이에스성선국제(KS Sungsun International), 주식회사 라메디텍(LAMEDITECH), ㈜아이셀메디텍(iCELmedi.), 주식회사 해피엘앤비(Happylnb) 등이 필러, 스킨부스터, 뷰티 디바이스, 화장품 등을 소개했다. 7홀 서플라이체인관에는 ㈜메가코스(MEGACOS), ㈜비엔엘에스(BNLS) 등이 기능성 화장품을, 국일글라스(Kugilglass)에서 화장품 용기와 패키징 기술을 선보였다.
인도네시아 산업부에 따르면 2025년 인도네시아 화장품 시장 규모는 20.9억달러(약 3조4천억 루피아)이며 2028년까지 연평균 4.73%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할랄 제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 증가, 그린 뷰티 트렌드, 혁신적인 제품 수요 급증을 근거로 한다.
산업부 화학제약섬유국장 Taufiek Bawazier는 “화장품 부문은 일자리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 인도네시아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뷰티 부문의 잠재력이 국가경제에 큰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라고 평가했다. 실제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 최대의 인구 보유국이자 뷰티 산업 성장세가 높은 국가로 꼽힌다. 그만큼 국가적 관심과 지원도 높아지고 있다.
실제 현지에서 K-뷰티 열풍은 거세다는 소식이다. 특히 기능성화장품, 친환경 패키징, 웰니스 뷰티에 대한 현지 바이어의 관심이 높아 K-뷰티 수출 확대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코이코 조완수 대표는 “인도네시아는 한류의 영향으로 K-뷰티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중요한 전략 시장”이라며, “코스모뷰티 인도네시아 외에도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한국관 운영을 통해 참가기업들이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마련하고 있다”고 전했다.
2026년 4월에 개최하는 뷰티케어 하노이 미용 박람회를 시작으로 코스모뷰티 베트남(7월), 코스모뷰티 인도네시아(10월), 코스모뷰티 말레이시아(10월) 등 코스모뷰티 시리즈를 통해 한국 기업의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및 거점 확보를 위해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코이코는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