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가 28일 오후 용산 전쟁기념관 피스앤파크 컨벤션에서 ‘용산국제업무지구 미래교통 포럼’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강희업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장, 유정훈 대한교통학회장을 비롯해, 도시계획 및 교통 전문가, 정책기관, 민간 기업, 학생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포럼은 용산국제업무지구를 중심으로 ‘도심지 역세권 고밀도 복합개발과 미래교통 체계 구축’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발표는 △용산 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 계획 설명을 시작으로 △대중교통 중심 도시개발(박경아 한국교통연구원 광역도시교통연구본부장)과 교통수요관리방안(고준호 한양대 교수) △미래교통혁신 사례(홍상연 서울연구원 박사)와 스마트 교통체계 구축(김인희 카이스트 교수) △용산국제업무 개발 청사진과 미래교통 도입 방향에 대한 토론으로 이어졌다.
발표자들은 용산국제업무지구의 교통 전략이 국가 철도망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를 살펴보고, 미래교통 기술과 혁신모델을 의제로 삼아 발제와 토론을 진행했다.
용산역은 KTX, 지하철 1·4호선 등 7개 철도 노선의 환승역이자, 향후 GTX-B 노선과 공항철도, 신분당선 등 5개 노선이 지나게 될 국내 유일의 메가환승 거점이다. 코레일과 SH공사는 올 하반기 중 인허가 절차를 마무리하고, 연내 기반시설 착공 및 토지 분양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6월엔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하고, 11월에는 도심대규모 개발을 위한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확정과 서울시 고시를 이행한 바 있다.
한문희 코레일 사장은 “이번 포럼은 용산 국제업무지구의 스마트 교통체계를 미리 살펴보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대중교통과 철도 인프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역세권 개발의 표준모델을 마련할 수 있도록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