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김완섭)는 캄보디아와 물관리 협력을 강화하고 국내 물산업의 현지 진출 확대를 위해 5월 5일부터 7일까지 김완섭 장관을 단장으로 한 물산업 협력 사절단*이 캄보디아를 방문한다고 밝혔다. 금번 사절단은 지난 3월 대전에서 개최된 ‘제3차 한-메콩 국제 물포럼’과 캄보디아 수자원기상부 장관과의 양자면담의 후속 조치로서 추진된다.
* 환경부, 우리나라 물기업(18개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 한국물산업협의회 등으로 구성
캄보디아는 연평균 6%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보이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가뭄에 취약하고 상·하수도 보급률은 각각 29%, 47% 수준*으로 낮은 편이어서, 향후 수자원 인프라, 상·하수도 확충, 수질관리 등 물산업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물관리 사업을 주로 정부부처가 발주·수행하는 특성이 있어, 환경부는 기존 정부 대 정부 협력(G2G)을 넘어서 캄보디아 정부 대 우리나라 기업들 협력(G2B)으로 확대하기 위해 금번 사절단을 전략적으로 구성, 기획하였다.
* 유엔 지속가능목표(UN SDG) 6.1.1 및 6.3.1 : 안전하게 관리되는 식수 서비스를 이용하는 인구 비율 및 안전하게 처리되는 하수 비율 기준 (2022년 기준 UN Water 자료)
우선, 환경부는 캄보디아 수자원기상부와 공동으로 ‘한국-캄보디아 물산업 협력 포럼’을 5월 6일 수도 프놈펜에서 개최한다. 포럼에서는 캄보디아 물관리 주요 부처들과 국제기구들에서 현지 물관리 사업현황과 계획을 발표하고, 우리 물기업들은 해당 사업들을 추진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상품들을 소개하여 상호 실질적 협력을 위한 이해를 높인다. 이를 위해 캄보디아 측에서는 물관리 전반을 담당하는 수자원기상부, 상수도를 관할하는 산업과학기술혁신부, 하수도를 담당하는 공공사업교통부 등 6개 부처에서 고위급부터 실무자까지 참석하고, 코트라 현지 무역관을 통해 관심을 보인 현지 기업들도 초청되었다. 캄보디아 물관리 협력사업을 추진하는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유엔개발계획(UNDP),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등 국제기구별 지역사무소에서도 참여한다. 특히, 우리 물기업들의 기업별 핵심 기술과 상품을 현지 수요처인 중앙부처, 지자체, 현지 기업들에게 1:1로 설명할 수 있도록 홍보부스를 설치하고 기술 상담회를 개최한다. 이를 통해 우리 기업들이 캄보디아 물산업 시장에서 실제 필요한 기술과 상품을 정확히 파악하고 1:1 수주 기회로 연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럼에 추가하여 우리 물기업들과 캄보디아에 진출한 우리나라 금융기관, 코트라 현지 무역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 한국물산업협의회 등이 간담회를 갖는다. 이 자리에서 현지 상황과 사업 기회, 위험요인, 금융지원 등에 대하여 논의하여 캄보디아 현지 진출을 추진하는 기업들의 추가적인 궁금증을 해소한다. 또한, 5월 7일에는 우리 기업들이 현지 바켕 정수장(프놈펜 소재)에 방문하여 운영실태 및 기술 수요를 확인하고, 프놈펜 상수도 공급을 총괄하는 프놈펜 상수도청을 방문하여 담당자들에게 직접 기술과 상품을 설명하는 세미나를 개최할 계획이다.
한편, 김완섭 장관은 캄보디아 총리, 관계부처 장관 등 최고위급과의 협력을 통해 우리 기업들의 캄보디아 진출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확보하고, 인공지능 홍수예보 정책 등 우리의 앞서가는 물관리 정책 수출을 추진한다.
5월 5일 훈 마넷 총리를 총리 관저에서 만나 양국 간 기후위기 대응 및 물관리 협력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우리 기업의 캄보디아 시장 진출에 대한 지지를 요청할 계획이다. 5월 6일 물산업 협력 포럼 중 김장관은 캄보디아 타오 체타 수자원기상부 장관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여 기후 대응력 강화를 위한 통합물관리 사업, 홍수·가뭄 조기경보, 디지털 기술 활용, 제도 개선 등 물관리 분야의 실질적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5월 7일에는 캄보디아 각 부처 청사에서 온 폰모리노트 캄보디아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헴 반디 산업과학기술혁신부 장관, 소펄라엣 이응 환경부 장관과의 연쇄 양자면담을 갖는다. 면담을 통해 각 부처에서 추진하는 수자원 확보를 위한 인프라 구축, 상수도 확장, 스마트 관망관리 사업 등에서 우리나라와의 협력과 우리 기업들의 진출 확대를 요청하고, 소수력 발전을 활용한 온실가스 국제감축 사업 등 환경협력 강화를 논의할 예정이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캄보디아는 기후위기로 인한 홍수·가뭄 등 물재해 대응 및 빠른 산업화·도시화에 대응한 물관리 시설 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우리나라가 강점을 보유한 물관리 분야에서 캄보디아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우리나라 기업들이 캄보디아 물문제 해결에 주도적으로 기여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 1. 한국-캄보디아 물산업 협력 포럼 개요.
2. 참여기업 명단. 끝.
□ 개요
ㅇ 캄보디아의 물 문제 해결방안을 논의하고, 현지 사업 수요자*와 국내 물기업 간 기술협력 및 파트너십 형성을 위해 개최하는 행사
* 캄보디아 중앙부처, 지자체, 민간기업, 다자개발은행, 국제기구 등
ㅇ 일시·장소 : ’25. 5. 6.(화) 09:00∼17:30, 하얏트 리젠시 호텔(프놈펜)
ㅇ 참석범위
- 환경부, 국내 기관 및 물기업 18개사 등
- 캄보디아 물관련 부처, 지자체, 국제기구 및 다자개발은행 등
□ 주요 내용
ㅇ 개회식 : 개회사(대한민국 환경부 장관), 환영사(캄보디아 수자원기상부 장관), 물관리 협력 MOU 체결(대한민국 환경부-캄보디아 수자원기상부)
ㅇ 세션 1 : 캄보디아 물 분야 현황 및 프로젝트 소개
- (발표자) 캄보디아 수자원기상부(댐, 관개, 수문 등 물관리 전반), 산업과학기술혁신부(상수도), 공공사업교통부(하수도), 국제기구, 한국수자원공사*
* 캄보디아, 국제기구, 우리나라간 협력 사업 제안
ㅇ 세션 2 : 한국 공공기관 사업 및 우리나라 물기업 기술·사업 소개
- (발표자) 공공(KOICA), 민간(국내 기업 12개사)
ㅇ 비즈니스 미팅 : 수요자-물기업 매칭
- 현지 물관리 관련 중앙부처, 지자체, 코트라에서 초청한 현지 기업들과 우리 물기업간 일대일 연계 상담
붙임2
참여기업 명단
□ 국내 물기업 18개사 참여 예정
기업명
주요생산품
그린텍아이엔씨
ICT 기술기반 상하수도 관망관리
내강산업
수문, 수문밸브
두원티이지
소형 담수화 설비
부강테크
AMX, 하수처리, 혐기소화
삼진정밀
수처리용 밸브 및 시스템
신정기공
밸브, 펌프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멤브레인
아이에스테크놀로지
원격검침기, 수위계
에이치에스씨엠티
NRW 상수관망솔루션
우리기술
초음파 레이더 수위계, 유량계, 슬러지 계면계
유솔
스마트 누수감지
자인테크놀로지㈜
초음파 유량계
천세산업㈜
정량펌프
탑전자산업
상하수도관로검사용 로봇
티앤이코리아
하·폐수처리용 터보 송풍기
한성산기
수처리 펌프
유신*
인프라 사업 설계·감리(엔지니어링사)
칠보산업*
소수력발전, 바이오매스 등 온실가스 감축
* 현지 진출기업 2개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