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전산망 먹통 사태’와 관련해 “국민께 큰 불편을 끼쳐드린 점에 대해 진심으로 송구하다”고 사과했다.
1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 나선 윤 장관은 “행정안전부는 이번 사안을 엄중히 받아들이고 있으며 가능한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하루라도 빨리 장애가 복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윤 장관은 특히 "화재 피해를 입은 국가정보시스템은 복구 여건과 대국민 파급효과 등을 고려해 최적의 방식으로 복구가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며 “재발방지 대책, 시스템 관리 체계 재설계 방안 등을 관계 기관과 함께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이날 감사에 앞선 업무보고에서 “소통과 혁신을 통한 인공지능(AI) 민주정부를 구현하겠다”며 “범정부 AI 공통기반 구축을 통해 공공부문의 AI 대전환을 견인하고 민간의 AI 발전에 필수적인 공공데이터의 개방과 활용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지방 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윤 장관은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재정사업과 지방세제 감면 등에 있어 비수도권 지역을 우대하겠다”며 “각종 균형발전 시책들도 재편해 실질적인 인구 유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5급 초광역권과 3특의 특화 성장을 지원하고 재우너 확충과 재정 운용에서 보다 높은 자율성을 가질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재난 대응 열량의 강화와 관련해서는 “생명안전기본법 제정 등을 통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 확보에 대한 국가의 기본 책무를 정립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신종 복합재난에도 대비해 사회재난 관리체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또 “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재난사고 예측과 상황 관리를 고도화하겠다”며 “재난 안전산업과 기술을 육성하기 위한 생태계를 조성하고 재난대응 조직과 인력을 확충하겠다”고 보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