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장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 출석
전날 오후 9시 기준 복구율 40.1%
"소통과 혁신 통한 AI 민주정부 구현"
[세종=뉴스핌] 김범주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709개가 운영을 중단한 것과 관련해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최적의 방식으로 복구하고, 재발방지 대책, 시스템 관리체계 재설계 방안 등을 마련하겠다"고 14일 밝혔다.
윤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지난 9월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다수의 정보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했다"며 "국민 여러분께 큰 불편을 끼쳐드린 점에 대해 진심으로 송구하다"고 말했다.
이어 "화재 피해를 입은 국가 정보시스템은 복구 여건과 대국민 파급효과 등을 고려해 최적의 방식으로 복구하겠다"며 "하루라도 빨리 장애가 복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가 정보시스템은 전날 오후 9시 기준으로 284개(40.1%)가 복구됐다. 등급별 복구율은 1등급 31개(77.5%), 2등급 35개(51.5%), 3등급 118개(45.2%), 4등급 100개(29.4%)로 각각 집계됐다.
현 정부가 추진 중인 인공지능(AI)과 관련한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윤 장관은 "소통과 혁신을 통한 AI 민주정부를 구현하겠다"며 "국민소통의 일상화·제도화를 촉진하고, 국민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범정부 AI 공통기반' 구축 등을 통해 공공부문의 AI 대전환을 견인하겠다"며 "민간의 AI 발전에 필수적인 공공데이터의 개방과 활용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방소멸위기에 대해서는 "(지역으로) 실질적인 인구유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며 "재정사업과 지방세제 감면 등 비수도권 지역을 우대하고, 다양한 균형발전 시책들도 사람·일자리·마을 중심으로 재편하겠다"고 말했다.
지방이 자생적 발전 역량을 갖출 수 있는 방안으로는 '5극' 초광역권과 '3특'의 특화성장 지원 방안을 내세웠다.
윤 장관은 "재원 확충과 재정의 운용에서 자율성을 가질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며 "국가자치분권‧균형성장회의를 도입해 중앙과 지방정부 간의 동반자적 관계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생명안전기본법 제정 등을 통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 확보에 대한 국가의 기본적 책무를 정립하겠다"며 "예측하기 어려운 신종·복합재난에도 대비해 사회재난 관리체계를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