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보안 없이 AI시대 없다’ 주제로 선대위 정보통신위와 정책 협약 체결, 정책제안서 공유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 회장 조영철)는 20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정보통신위원회(위원장 이정헌 의원)와 ‘사이버보안 없이 인공지능(AI) 시대 없다’를 주제로 한 정책 협약을 체결하고, 정보보호 4대 정책공약이 담긴 정책제안서를 공유했다고 밝혔다.
민주당 선대위 정보통신위에 건네진 정책제안서에는 국민과 기업의 안전한 AI활용과 사이버 신뢰사회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방안을 담고 있다.
KISIA는 ‘사이버보안 없이 AI시대 없다’는 기조 아래 정보보호 강화를 위한 4대 정책 공약을 제안했다. 정보보호 정책 4대 공약은 ▲국민과 기업이 안전하게 AI를 활용할 수 있는 신뢰사회 조성 ▲AI 시대 미래위협에 대응하는 국가 전략기술 확보 ▲AI 시대를 지키는 사이버보안 인재 생태계 구축 ▲사이버보안을 국가전략 수출산업으로 육성이다.
구체적으로 ‘AI시대 사이버보안을 위한 대국민 인식 전환’, ‘국가핵심기술·시설 보호를 위한 보안 역량 확보’, ‘AI, 양자 등 신기술 적용 및 AI 악용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R&D)’, ‘혁신기술 적용 솔루션 및 실증 프로젝트 활성화’, ‘보안을 위한 AI(AI for Security)를 위한 실전 보안인재 양성’, ‘정보보호인력 생애주기 관리플랫폼’, ‘연1조원 규모 인수합병(M&A) 펀드조성’, ‘K-사이버보안 수출활성화’ 등이 제안됐다.
조영철 KISIA 회장은 이날 협약식에서 “2030년까지 글로벌 정보보호산업 3위 진입이라는 도전적 목표달성을 위해 10조원 규모의 정부 지원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대한민국 국민과 기업이 안심하고 AI와 디지털기술을 활용하는 시대를 만들기 위해 협회 역시 필요한 책임과 역할을 다하고,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이정헌 선대위 정보통신위원장은 “정보보호는 산업을 보조하는 기술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디지털 주권을 지키는 핵심 자산”이라며, “민간의 전문성과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정보보호 산업이 국가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제도적·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원회관 제5간담회의실에서 열린 정책협약식에는 국내 정보보호기업 대표 10여명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정보통신위원회 이정헌 위원장, 위원회 소속 부위원장단 및 고문단이 참석해, 국내 보안 인프라 현황을 점검하고 민간 사이버보안 체계 강화를 위한 정보보호산업 정책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최근 통신사 유심정보 해킹사태를 돌아보며 국민 모두가 사이버공격의 잠재적 피해자가 될 수 있는 시대임을 인식했으며, 다가오는 AI시대에 국민과 국가의 사회적 신뢰를 위협하는 중대한 과제로써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에 깊이 공감했다고 KISIA는 설명했다.
이날 정책협약식에는 이정헌 위원장을 비롯해 안정상 선임부위원장, 이원태 선임부위원장, 김현목 선임부위원장, 김형욱 선임부위원장, 박예슬 선임부위원장, 장재진 부위원장이 참석했다.
산업계에서는 조영철 KISIA 회장(파이오링크 대표)을 비롯해 소프트캠프 배환국 대표, 김진수 트리니티소프트 대표, 엔시큐어 문성준 대표, 지니언스 이동범 대표, 이민수 한국통신인터넷기술 대표, 박천오 피인피시큐어 대표, 이정아 라온시큐어 대표, 정은아 수산아이앤티 대표가 자리를 함께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유지 기자>yjlee@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