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는 5일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유튜브를 통해 '함안 말이산 8호분' 출토 말 갑옷 재현품에 대한 타격 실험 결과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가 지난 1994년 실시한 '함안 말이산 8호분'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말 갑옷 재현품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실험은 고대 가야의 기마 병기 연구와 복원 과정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진행됐다.
2004년까지 1차 보존처리를 완료한 뒤, 2020년부터 말 갑옷에 대한 2차 보존처리와 함께 과학적 분석을 실시했으며, 그 과정에서 갑옷 부위별 탄소 함량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말의 몸통을 가리는 신갑은 탄소 함량이 매우 낮았던 반면, 목과 가슴을 보호하는 경·흉갑은 상대적으로 높은 탄소 함량을 보였다.
이번 타격 실험은 각 갑옷 재현품에 쇠 화살을 타격하여 탄소 함량과 실제 방어 성능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탄소 함량 0.2%로 제작된 신갑은 충격에 취약해 화살 타격에 의해 쉽게 관통되었으나, 상대적으로 높은 0.8%의 탄소 함량으로 제작된 경·흉갑은 강도와 경도가 확보되어 관통되지 않고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방어에 성공했다.
또한 신갑은 관통되었지만, 여러 개의 철판을 이어 붙인 찰갑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2~4겹이 겹쳐진 부분에서는 말의 몸체까지 손상이 전달되지 않았다.
가죽 부분이 끊어지더라도 갑옷 전체가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추후 보수도 가능한 수준임을 확인했다. 이는 가야 갑옷이 단순한 철판 보호구가 아니라, 겹겹의 방어층을 형성하여 실전에서 충분한 방어 기능을 발휘했음을 보여준다.
이번 실험의 결과는 가야의 철기 제작 기술과 병기 운용 방식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
특히 고대 가야가 단순히 갑옷을 제작하는 수준을 넘어 탄소 함량 조절을 통해 방어 성능을 강화했다는 사실이 실험적으로 입증되면서, 당시 금속 가공 기술이 상당히 발전된 수준이었음을 보여준다. 재현된 말 갑옷은 현재 김해에 위치한 국립가야역사문화센터 1층 전시실에서 관람할 수 있다.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는 "앞으로도 진정성 있는 가야사 규명을 위해 체계적인 학술연구를 이어갈 것이며, 그 성과를 국민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공유하는 적극행정도 지속할 것"이라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CJK 2025년 10월호 [퍼스널케어] 데오도란트 항균 효과, 유동 세포 분석 신속 검출 가능](https://www.cosinkorea.com/data/photos/20251145/art_17622270357222_2c08fa.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