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영암군 지방소멸기금사업으로 추진…탈탄소 해운 생태계 본격 가동
[서울=뉴스핌] 조한웅 기자 = 대한민국 친환경 선박 기술의 새로운 장이 열렸다. 전남 영암군(군수 우승희)이 지방소멸기금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최초 수소 연료 전지 추진 여객선 도입을 본격화하며, 해운 산업의 탈탄소 전환을 향한 첫걸음을 내디딘 것이다.
이번 사업은 단순한 연구 개발을 넘어 실제 운항을 목표로 하는 상용화 프로젝트로 지역 조선 산업의 성장과 해양 환경 보호라는 두 가지 성과를 동시에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본 사업은 산·학·연 협력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전남테크노파크 조선해양센터(원장 오익현)가 총괄을 맡고, 중소형 선박 전문 조선사 ㈜이원마린이 건조를 담당한다. 핵심 기술인 수소 연료 전지 기반 전기 추진 시스템은 친환경 선박 전문기업 ㈜빈센(VINSSEN)이 공급한다.

빈센은 온실가스 배출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패키지형 수소 연료 전지·배터리 전기 추진 시스템을 독자 개발했으며 이번 여객선에는 자사 기술로 설계·제작된 100kW급 수소 연료 전지가 탑재된다. 해당 장비는 현재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의 안전 검증을 받고 있으며, 곧 한국선급(KR) 형식 승인도 완료될 예정으로 안정성과 신뢰성이 공식 입증될 전망이다.
특히 이 시스템은 전 과정이 순수 국내 기술력으로 구현되어 중소형 선박 시장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기술 자립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빈센의 수소 연료 전지 전기 추진 시스템은 PEM(고분자 전해질막) 기술을 적용해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기존 화석 연료 선박과 달리 배기가스 대신 순수한 물만을 배출하며 온실가스 배출이 전혀 없는 진정한 무탄소 추진 기술로 꼽힌다.
이는 국제해사기구(IMO)의 강화된 탄소 규제 기준을 충족하며 미래 해상 운송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한다. 또한 운항 상태를 실시간으로 디지털 모니터링할 수 있어 연료 전지 구동, 배터리 충·방전, 전력 분배, 추진 모터 등 핵심 장비의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운항 안전성과 시스템 신뢰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빈센이 개발한 모듈형 수소 연료 전지 기술은 출력 확장이 용이해 소형 연안 여객선부터 중대형 선박의 추진 시스템, 보조 전력 장치까지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회사는 이미 17.4m급 수소 추진선 개발과 싱가포르 디젤 발전기 대체 개조 사업을 통해 기술력을 입증했으며 본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 기술 기반의 글로벌 친환경 선박 시장 진출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해당 여객선은 수소 연료 전지 차량에 이어 모빌리티 분야에서 두 번째 상용화 사례가 된다. 이 프로젝트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탈탄소 에너지 전환의 상징적 의미를 지니며, 지역 산업과 국가 기술 경쟁력을 함께 끌어올릴 전망이다.
㈜빈센 이칠환 대표는 "이번 프로젝트는 대한민국 수소 연료 전지 선박 상용화의 첫 출발점"이라며 "국내 기술력을 기반으로 IMO가 제시한 '온실가스 배출량 0'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동시에 지역 전략 산업인 친환경 조선업의 경쟁력 강화와 수소 도시 인프라 확장에도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영암군 관계자 역시 "이번 프로젝트는 지역 전략 산업인 친환경 조선업의 국내외 입지 강화와 함께, 영암군이 추진하는 수소 도시 조성 인프라 확장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이번 수소 연료 전지 여객선 상용화는 대한민국이 친환경 기술 강국으로 도약하며 세계 시장에서 입지를 굳히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whits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