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전투기 엔진 국산화 속도
방사청·산업부·국토부·우주항공청 뭉쳤다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정부가 차세대 전투기급 첨단 항공엔진 개발을 국가 공동 프로젝트로 추진한다. 개발부터 인증·공급망·시험 인프라까지 전 주기적 협업 체계를 가동해 엔진 기술 자립과 산업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28일 국토교통부는 정부 세종컨벤션센터에서 방위사업청, 산업통상자원부, 국방부, 우주항공청 등 관계 부처와 함께 첨단 항공엔진 개발을 위한 '범부처 협의체'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차세대 전투기급에 적용할 첨단 항공엔진 개발계획을 점검하고, 부처 간 폭넓은 의견수렴과 협력을 공식화하기 위한 자리다.
항공엔진 기술은 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 등 극소수 국가만 보유한 대표적 전략기술로, 국제 통제체제에 따른 규제 강도가 높고 장기간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고난이도 분야다.
첨단 항공엔진은 차세대 전투기의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 동력원이다. 국내 개발이 성공할 경우 해외 업체에 지급하던 유지·정비 비용을 절감하고 국산 전투기에 장착해 수출 경쟁력까지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 파급효과도 크다.
방위사업청은 올해 1월 '첨단기술사업관리위원회'를 통해 '첨단 항공엔진 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한 뒤 개발 인력 양성, 시험 인프라 확충, 소재·부품 생태계 조성 등 전 주기에 걸친 기반 마련을 추진해 왔다.
이번 협의체 출범으로 방사청, 산자부, 국토부, 우주항공청 등은 기술 개발과 예산 투입의 중복을 방지하고 개발 단계별 주요 현안을 상시 논의하는 공식 채널을 구축하게 됐다.
각 부처는 항공엔진 기술 자립화 및 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해 역할을 분담해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최승욱 국토부 항공기술과장은 "첨단 엔진 개발 성공을 위해서는 인증이 필수적"이라며 "국토부의 인증 수행과 국제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군용 인증을 지원하는 동시에 민수용 인증도 병행해 상용화와 수출 기회를 열겠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