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25일 충북 청주시 오송읍 오송앤세종컨퍼런스에서 케이(K)-농정협의체 식량소분과 제3차 회의를 개최하고, 식량안보 지표 개발을 위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진행했다.
K-농정협의체는 농업·농촌 현안과 미래 과제 해결을 위한 소통체계로, 현장 농업인·업계·소비자·전문가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정책 논의 플랫폼이다. 식량소분과는 식량안보 강화, 논 타작물 확대 등 식량 분야 핵심 이슈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정부가 추진 중인 ‘식량 자급 목표 재설정을 위한 식량안보 지표 개발’ 연구용역의 방향을 공유하고 관련 분야 위원들과 심도 있는 토론이 이어졌다. 연구용역은 ▲국가 식량안보 수준을 객관·종합적으로 측정할 지표 개발 ▲식량안보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경제적 평가를 함께 수행하는 것이 골자다.
현재 정부가 설정한 식량자급률 목표는 2027년 기준 55.5%. 그러나 실제 자급률은 2022년 기준 49.3%로, 밀·옥수수 등 주요 곡물 자급률이 20%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참석 위원들은 이러한 현실을 고려할 때 "한국의 농업 구조와 국제 환경을 함께 반영한 지표 개발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연구용역은 2025년 11월부터 2026년 3월까지 5개월 동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맡아 진행한다.
K-농정협의체 김종인 식량소분과 대표는 “연구용역을 신속히 추진해 결과를 조속히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며 “새 지표를 기반으로 식량안보 대응체계를 개편하고 식량자급 목표 재설정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농식품부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축산을 포함한 품목별 자급률 목표 역시 새롭게 설정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국내외 여건을 고려하되, 자급률 상향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한다”고 설명, 축산물 자급 목표 조정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단독] "中처럼 팹에 보조금 줘야 초격차" 여야 초당적 목소리](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25/f26e80f6-a06a-4db3-bb00-1423d9398613.jpg)
![[속보] 외환당국-국민연금 협의체 구성…"연금 수익성-외환안정 조화"](https://newsimg.sedaily.com/2025/11/24/2H0KUVSHTW_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