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석 연휴가 끝났다. 민족 최대의 명절, 긴 연휴 덕에 귀성·귀경 전쟁은 그리 치열하지 않았다. 치열한 전쟁은 따로 있었다. 이제 7개월여 남은 내년 지방선거 입지자들의 홍보전이다. 이미 출마의사를 밝혔거나 출마를 기정사실화 한 입지자들의 ‘명절 인사’ 현수막이 아직도 즐비하다. 명절 인사를 빙자한 입지자들의 이름 알리기 경쟁이다. 추석 연휴를 기점으로 사실상의 선거전이 시작된 것이다.
내년 6월 3일로 예정된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주요 사무일정은 내년 1월 시작된다. 입지자들이 신경을 곤두세우는 각 정당의 경선은 내년 3월께 치러진다. 선거가 내년이라고는 하지만 민주당 경선이 곧 본선인 지역 선거구도에서 입지자들의 마음은 급하다. 중앙 정치무대에서 활약상을 보이지 못한 국회의원들도 지역구 유권자들에게 존재감을 드러내야 한다. 기성 정치인과 출마예정자들이 큼지막하게 자신의 이름을 새긴 추석맞이 현수막을 여기저기 내건 이유다. 잊혀지지 않기 위해서, 그리고 새로 기억되고 싶어서다.
명절은 공직선거의 시점이자, 분기점이다. 민심이 형성되고 움직이는 시기가 바로 사람이 모이는 추석과 설 명절이다. 각 정당의 지방선거 후보자 공천을 앞두고 맞는 내년 설 명절에는 거리의 귀성 인사 경쟁, 민심 잡기 신경전이 더 치열할 것이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명절 밥상머리 화두에 정치와 선거 얘기는 절대 꺼내서는 안 될 금기어가 됐다. 오랜만에 만난 가족·친지들 사이에 큰 분란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증오와 대립의 정치가 고착되면서 그 금기사항은 철칙으로 굳어졌다. 가족 간 말다툼과 주먹다짐을 넘어 칼부림까지 종종 발생하니, 명절 어이없는 비극을 막기 위해 절대 꺼내서는 안 될 화두임에 분명하다. 어쩌다보니 가족 간에도 극도로 말조심을 해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취업과 결혼·출산 등 사생활에 대한 간섭은 상대를 불편하게 하지만, 정치적 견해를 내세울 경우 자칫 극한 충돌을 불러올 수 있다. 그 견해가 확고할수록 위험성은 더 커진다. 정치인들이 만들어낸 우리 사회 불문율이자 웃지 못할 명절 풍속도다.
그나마 농어촌에서는 이런 다툼조차 찾아보기 어렵다. 마을 어귀, 명절이면 어김없이 줄지어 내걸렸던 귀성객 환영 현수막이 자취를 감췄다. 정치인들의 낯내기용 명절 인사 현수막조차 없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는데도 말이다. 표 계산에 도가 튼 정치인들의 셈법이니 그 이유가 분명하다.
그래도 정치인들은 명절 밥상머리 민심을 듣고 싶어 한다. 내년 지방선거 입지자들은 더 그랬을 것이다. 그런데 정작 귀담아듣지는 않는다. 어느 정치인, 어느 후보를 추켜세우고, 비난하는지에만 촉각을 세운다. 해석도 아전인수식이다. 정치권의 이전투구식 정쟁을 싸잡아 비난하면서 당장의 팍팍한 삶을 걱정하는 서민들의 목소리는 흘려버린다. 민생과 소통을 외친 그들의 명절 현장 행보가 가증스럽다.
/ 김종표 논설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명절 #추석 #민심 #선거
김종표 kimjp@jjan.kr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