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서울 종묘 앞 고층 건물 재개발을 둘러싼 공방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세계유산 전문가들이 서울시를 향해 세계유산영향평가(HIA)를 받을 것을 촉구했다.
24일 학계에 따르면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 한국위원회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종묘 주변 개발 문제와 관련해 '공동 영향평가'를 제안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코모스 한국위원회는 전날 이사회를 거쳐 작성한 입장문에서 "공동 (세계유산) 영향평가와 국제 자문 절차의 공식 가동이 가장 효과적인 해법"이라고 밝혔다.

이어 "당사국, 즉 국가유산청이 세계유산센터에 정식으로 상황을 통보하고 서울시와 국가유산청,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영향평가를 수행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위원회는 "그 결과를 바탕으로 서로 합의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찾는 방식"이라며 "이 과정은 어느 한쪽의 일방적 희생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 근거–국제 기준–도시 발전–지역 공동체의 요구를 균형 있게 도출하기 위한 절차"라고 강조했다.
특히 종묘 앞 재개발 부분에 대해 "현재 종묘 상황은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조건에 해당한다고 판단되지는 않는다"면서도 "초고층 개발 계획, 경관 축의 잠재적 훼손, 관계 기관 간 조정 미흡으로 인해 세계유산센터와 여러 전문가들이 우려를 표하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또한 "세계유산 제도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은 명확하다. 바로 되돌리기 어려운 결정을 내리기 전에, 당사국과 지방정부가 세계유산센터와 자문기구에 충분히 이른 단계에서 정보를 공유하고 자문을 구하는 것"이라며 "이 원칙은 세계유산 운영지침 172항에 분명히 규정돼 있으며, 이는 종묘뿐 아니라 전 세계 모든 도시형 세계유산에 공통 적용되는 기준"이라고 전했다.
끝으로 위원회는 "종묘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세계유산이며, 도시 한복판에서 고층 개발과 세계유산 보호가 만나 충돌하는 전형적인 21세기 도시형 갈등 사례"라며 "우리가 국제사회에 보여줄 수 있는 최선의 메시지는 단 하나다. '대한민국은 세계유산의 가치를 존중하며, 국제 절차를 정직하게 따르고, 보존과 개발의 균형을 찾기 위해 전문가·지자체·중앙정부가 함께 노력한다'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alice09@newspim.com

![[김정기의호모커뮤니쿠스] 입씨름은 말고 토론해야 할 때](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3/2025112351023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