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경기도 하남시 일대에 추진하는 ‘동서울변전소 증설 공사’와 관련해 대체 부지 모색, 갈등중재위원회 설립 등의 대안을 제시했다.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사업이 지연되는 가운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로의 전력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해법을 도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 장관은 22일 하남시 감일동주민센터를 방문해 ‘동서울변전소 증설 반대 5자 협의체’와 만나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동서울변전소 증설 논란이 지난해 여름 본격적으로 불거진 후 소관 부처 장관이 감일동 현장을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장관은 “동서울변전소는 동해안에서 생산한 전력을 수도권으로 보내는 국가 기간 송전 설비의 마지막 단계지만 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사업을 강행할 수 없다”며 “지금까지 진행돼온 사업 전 과정을 되돌아보고 지역 주민의 요구 사항도 꼼꼼하게 살피는 등 보다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김 장관은 이날 간담회에서 △대체 부지 등 대안 모색 △국무총리 갈등조정위원회 회부를 포함한 갈등중재위원회 설립 △한국전력의 주민 설명회 관련 절차상 하자 검토 등을 약속했다.
이 사업은 동해안에서 생산된 전력을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해 동서울변전소의 기존 교류(AC) 345㎸(킬로볼트) 옥외 시설을 옥내화하고 500㎸ 초고압 직류(HVDC) 전압과 관련한 변환소를 추가 증설하는 사업이다. 지난달 2일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차 국가기간전력망확충위원회에서 전국 99개 송전선로와 변전소 구축 사업이 국가 기간 전력망 설비로 지정됐고 동서울변전소도 포함됐다. 하지만 주민들은 생존권·환경권이 훼손되고 한전과의 협상 과정에서도 문제가 있다며 500㎸ 변환소를 감일동이 아닌 대체 부지에 건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남시는 지금까지 이 사업에 대해 인허가를 내주지 않은 상태다.
김 장관은 주민들이 제기하는 절차상 하자, 주민 수용성 문제를 꼼꼼히 살필 것임을 강조했다. 그는 “한전의 사업 설명회 과정에서 문제가 없었는지 검토하고 (대체 부지 등) 다른 대안이 있는지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KF-21이 전투 못 한다?”…예산·무장·KAI 리스크 터졌다 [박수찬의 軍]](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1/2025112151441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