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주석 두고 ‘친엄마 vs 새엄마’ 갈등…결혼 앞둔 30대 아들 고민

2025-10-26

결혼을 앞둔 30대 남성이 혼주석 문제를 두고 아버지와 갈등을 겪고 있다는 사연이 전해졌다.

지난 24일 방송된 JTBC ‘사건반장’에는 30대 남성 A씨의 사연이 소개됐다. A씨는 “부모님이 제가 20살 때 이혼하셨고, 이후 재혼한 아버지와 함께 살았다”며 “새어머니가 저를 친아들처럼 아껴주신 덕분에 지금까지 큰 문제 없이 지냈고, 친어머니와도 연락을 이어오며 좋은 관계를 유지해왔다”고 털어놨다.

하지만 최근 결혼식을 앞두고 아버지와의 대화 중 혼주석을 두고 갈등이 생겼다고 밝혔다. A씨는 “결혼식 날 오랜만에 엄마 만나시겠네요”라고 말하자, 아버지는 “어차피 떨어져 앉을 건데 마주칠 일 있겠냐”고 답했다. 이에 A씨가 “엄마랑 같이 혼주석에 앉으시는 거 아니에요?”라고 묻자 아버지는 “네 엄마가 왜 혼주석에 앉아. 지금 새엄마가 있잖아”라며 불쾌한 반응을 보였다는 것이다.

A씨가 “그래도 키워주신 정이 있는데”라고 하자, 아버지는 “누가 네 밥을 해주고 살게 했는지 생각해봐라. 새엄마가 네 결혼 준비에 얼마나 도와줬는데, 염치가 없냐”고 꾸짖었다고 했다.

A씨는 “성인이 될 때까지 친어머니가 키워주셨기 때문에 당연히 친부모님이 혼주석에 앉으실 거라고 생각했다”며 “하지만 다시 생각해보니 새어머니께 받은 금전적 도움이 훨씬 크다. 아버지는 친어머니가 혼주석에 앉는 걸 절대 반대하고 계신다”고 토로했다.

이어 “친어머니와 새어머니 모두에게 상처를 드리고 싶지 않다”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조언을 구했다.

이에 대해 최형진 평론가는 “정답은 없지만, 결혼식은 결국 아버지의 입장도 중요하다”며 “아버지가 새어머니와 함께 앉고 싶다고 하면 그 뜻을 존중하는 것이 맞다. 다만 결혼 전에 신부와 함께 친어머니를 찾아뵙고 시간을 보내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상희 심리학 교수는 “대부분의 경우 새어머니가 혼주석에 앉는다”며 “결혼식은 가족의 현재 모습을 사회적으로 보여주는 행사이기 때문이다. 아버지 옆에 이혼한 친어머니가 앉는 것은 자연스럽지 않다”며 “아버지와 함께 살아온 아들의 입장에서는 새어머니가 혼주석에 앉는 것이 일관성 있는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