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AI 패권 유지의 중심” 팰런티어 목표가 줄상향…"일라이릴리 팔자 급락, 애플 사자 급등" 국민연금 ‘신의 한수’ [AI 프리즘*주식투자자 뉴스]

2025-08-10

▲ AI 프리즘* 맞춤형 경제 브리핑

* 편집자 주: ‘AI PRISM’(Personalized Report & Insight Summarizing Media)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뉴스 추천 및 요약 서비스’입니다.

독자 유형별 맞춤 뉴스 6개를 선별해 제공합니다

[주요 이슈 브리핑]

삼성전자 美투자 확대로 AI 공급망 점유율 확보 가속화: 삼성전자가 미국 테일러 공장에 기존 370억 달러에서 추가로 70억 달러를 더한 440억 달러 투자를 검토하며 테슬라·애플 등 빅테크 고객 확보에 나선다. 이에 따라 테슬라 23조 원 규모 AI반도체 수주와 애플 이미지센서 수주가 연이어 성사되면서 턴키서비스 경쟁력 강화와 주가 재평가 모멘텀이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국민연금 미국주식 포트폴리오 조정으로 수익률 반등 신호: 국민연금이 일라이릴리·유나이티드헬스 조기매도와 애플 저점매수로 발 빠른 포트폴리오 조정을 단행했다. 또한 올해 1분기 -1.56% 부진했던 해외주식 수익률 회복을 위한 전략적 리밸런싱으로 평가되며, 애플 주가가 최근 229달러까지 급등하며 저점매수 효과가 가시화되는 모습이다.

K-바이오·AI 생태계 투자 기회 확산으로 테마주 재평가 기대: 삼성바이오에피스 키트루다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 완료와 SK텔레콤 국가대표 AI모델 개발 컨소시엄 선정이 바이오·AI 분야 투자 관심을 견인하고 있다. 한편 키트루다 분기매출 11조 원 시장 진입과 풀스택 AI 생태계 구축이 관련 기업들의 성장성 재평가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주식투자자 관심 뉴스]

1. 삼성전자, 美테일러 공장 ‘10조+α’ 추가 투자하나

- 핵심 요약: 삼성전자가 미국 테일러 공장 투자를 기존 370억 달러에서 440억 달러로 70억 달러 확대를 검토하며 첨단 패키징 설비투자를 재추진한다. 테슬라 23조 원 AI반도체 수주와 애플 이미지센서 수주가 연이어 성사되면서 빅테크 고객 확보 전략이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 머스크 CEO가 “165억 달러는 최소액이며 실제 생산량은 몇 배 더 많을 것”이라고 언급해 추가 수주 가능성까지 열려있는 상황이다. 턴키서비스 차별화 전략이 주효하면서 파운드리 사업 수익성 개선과 AI반도체 시장 점유율 확대로 주가 재평가 모멘텀이 강화될 전망이다.

2. 분기 매출 ‘10조’ 키트루다 잡아라…K바이오 임상 전략 다각화

- 핵심 요약: 키트루다 특허만료(한국 2028년 6월)를 앞두고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임상 1상과 3상을 동시 진행하는 오버랩 전략으로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키트루다는 올 2분기에만 매출 11조 원을 기록한 글로벌 1위 항암제로 전세계 의약품 중 매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포마이콘은 FDA 협의를 거쳐 임상 3상을 중단하고 1상 데이터만으로 품목허가에 나서는 등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바이오시밀러 기업들이 다양한 전략을 통해 개발을 서두르는 이유는 허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특허 소송 등에 대응하고 선점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바이오시밀러 시장 선점을 위한 개발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068270) 등 K-바이오 대표주들의 실적 모멘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3. SK텔레콤, ‘풀스택 AI’로 승부수… “생태계 열린 초거대 모델 만들 것”

- 핵심 요약: SK텔레콤이 크래프톤(259960)·포티투닷·리벨리온 등과 구성한 컨소시엄이 정부 ‘국가대표 AI 파운데이션 모델’ 5개 정예팀에 선정됐다. 모델·데이터·반도체·서비스를 아우르는 풀스택 구조로 차별화를 꾀하며 현재 5000억 개 규모 모델을 1조 개 이상으로 확장 계획이다. 최종 2개 컨소시엄 선정 시 대규모 정부 지원과 AI 생태계 주도권 확보가 가능해진다. 오픈소스 정책과 함께 크래프톤(게임)·포티투닷(모빌리티)·라이너(검색) 등 실사용 기업 참여로 상용화 가능성이 높아 AI 관련주 투자 확산의 핵심 모멘텀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사용자 기반의 기업과 연계해 해외 확산 기반을 마련했고, 하이닉스를 포함한 그룹 계열사의 제조 현장 적용, 자율주행·로봇 분야 등 피지컬 AI 확장도 준비 중이다.

[주식투자자 참고 뉴스]

4. “美 AI 패권 유지의 중심” 팰런티어 목표가 줄상향

- 핵심 요약: 팰런티어가 2분기 사상 첫 분기매출 10억 달러를 달성하며 미국 상업부문 매출 93% 급증, 영업이익률 46%를 기록했다. BofA는 미국 AI 실행계획의 최대 수혜주로 평가하며 목표가를 150달러에서 180달러로 상향조정했다. 파이퍼샌들러(170→182달러), UBS(110→165달러), 모건스탠리(98→155달러) 등 주요 IB들이 일제히 목표가를 올리고 있다. 올해 주가가 2배 넘게 상승해 8일 186.96달러로 연일 최고가를 경신 중이지만, 내년 기준 EPS 성장률 65%와 매출 성장률 47%가 고평가 우려를 상쇄하고 있다.

5. 일라이릴리 팔자 급락, 애플 사자 급등…국민연금 ‘신의 한수’

- 핵심 요약: 국민연금이 2분기 일라이릴리 8만 4359주 매도(비중 1.29%→1.04%)와 애플 22만 주 추가매수로 발 빠른 포트폴리오 조정을 단행했다. 일라이릴리는 경구용 비만치료제 임상 부진으로 최근 2거래일간 16% 급락한 반면, 애플은 미국 투자계획 발표 후 주간 13% 상승해 5년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앱러빈 투자도 두 배 확대해 2분기 평균 324달러에서 현재 455달러로 40% 수익을 거뒀다. 올해 1분기 -1.56% 부진했던 국민연금 해외주식 수익률 회복을 위한 전략적 리밸런싱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6. 깐깐한 심사에 발목…6조 모험자본 투입기회 놓치나

- 핵심 요약: 삼성·메리츠·하나·신한·키움 등 5개 증권사의 발행어음 사업 인가 심사가 각종 사법 리스크로 답보 상태에 빠져있다. 5개 증권사 모두 인가받을 경우 내년 약 6조 4000억 원의 모험자본이 시장에 추가 공급될 예정이었으나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발행어음 사업자는 조달 자금의 10%를 모험자본에 의무 투자해야 하며 2027년 20%, 2028년 25%로 단계적 확대된다. 새 정부의 자본시장 활성화 정책과 혁신기업 지원 확대 기조에 역행하는 과도한 규제라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증권주 전반의 사업 확장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업계 관계자는 “발행어음은 지금 같은 금리 인하 시기에 연 4%대 수익을 올리는 투자 상품”이라며 "(과도한 규제는) 일반 투자자 입장에서도 달갑지 만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주 묻는 질문]

Q. 삼성전자 미국 투자 규모가 얼마나 늘어나나요?

A. 기존 370억 달러에서 440억 달러로 70억 달러 확대 검토 중입니다. 삼성전자는 테슬라와 23조 원 규모 AI반도체 공급계약을 체결했으며, 머스크 CEO는 “165억 달러 수치는 단지 최소액”이라며 “실제 생산량은 몇 배 더 많을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테일러팹 1공장 신축공사 진행률은 91.8%로 10월 말 완료 예정이며, 업계에서는 패키징 공장 추가 투자 포함해 최종 투자 규모가 500억 달러를 넘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Q. 키트루다 시장 규모와 특허만료 시점은 언제인가요?

A. 키트루다는 올 2분기에만 매출 11조 원을 기록한 글로벌 1위 항암제입니다. 특허만료는 한국 2028년 6월, 미국 2029년 11월, 유럽 2031년 1월 순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다음달 임상 3상 1차 데이터 수집을 완료할 예정이며, 셀트리온은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 임상 3상에 착수했습니다. 2014년 FDA 허가를 받은 이래 현재 40개 이상 적응증을 보유하고 있어 전세계 의약품 중 매출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Q. SK텔레콤 AI 모델 규모와 투자 계획은 어떻게 되나요?

A. 현재 5000억 개 규모의 MoE 구조 초거대 언어모델을 학습 중이며 1조 개 이상으로 확장 계획입니다. 정부 국가대표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 5개 정예팀 중 하나로 선정되어 최종 2개 컨소시엄이 선정될 예정입니다. 크래프톤, 포티투닷, 리벨리온, 라이너, 셀렉트스타, 서울대, KAIST 등 7개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했으며, 모델·데이터·반도체·서비스 전 영역을 아우르는 풀스택 구조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식투자자 핵심 체크포인트]

반도체 대형주 투자 확대: 삼성전자 美투자 확대와 테슬라 추가수주 가능성으로 파운드리 사업 재평가 모멘텀 지속 관찰

AI 생태계 테마주 발굴: SK텔레콤 컨소시엄 최종 2개팀 선정 여부 모니터링으로 AI 관련 중소형주 선별 투자 기회 포착

바이오시밀러 개발 진척도 추적: 삼성바이오에피스 9월 임상데이터와 셀트리온 3상 진행상황 점검으로 매수 타이밍 결정

미국주식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벤치마킹: 대형 기관투자자 매매 동향 참고하여 개인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전략 수립

증권주 투자 리스크 관리: 발행어음 인가 심사 결과에 따른 모험자본 사업 확장성 변화 지속 모니터링 필요

[키워드 TOP 5]

삼성전자 美투자, 팰런티어 목표가, 키트루다 바이오시밀러,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발행어음 인가, AI PRISM, AI 프리즘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