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경주 호텔 부족, APEC 불안"…외교부 "2만명 투숙 충분" 반박

2025-10-29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지인 경주를 두고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숙박·교통 인프라 부족 문제를 지적하자, 외교부가 즉각 반박에 나섰다.

NYT는 28일(현지시간) “한국의 개최 불안: 유서 깊지만 호텔이 부족한 도시”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경주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풍부한 문화유산을 지닌 도시이지만, 2만 명에 달하는 APEC 참석자를 수용하기에는 숙소와 교통시설이 충분하지 않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경주에는 국제공항이 없고, 정상급 인사와 기업 대표단을 모두 수용할 호텔도 부족하다”며 “크루즈선을 임시 숙박시설로 활용하고, 외국 대표단과 기자단이 숙소 예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주최 측이 경주 일대 호텔·콘도·기업 연수원 등을 정상급 숙소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100억 원 이상을 투입했으나, 일부 기업 CEO는 인근 도시에서 행사장으로 출퇴근해야 했다고 지적했다.

NYT는 국립경주박물관 중정에 건립된 목조 건물이 정상 만찬장으로 쓰일 예정이었으나, 공간 협소와 화장실·조리시설 부족 등의 이유로 ‘용도 부적합’ 판정을 받아 결국 인근 호텔로 장소가 변경됐다고도 보도했다.

또한 경주가 다양한 문화유산을 보유한 만큼 개발 제한이 엄격해 대규모 행사 준비에 제약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더불어 경주가 APEC 개최지로 확정된 이후 한국이 계엄·탄핵 정국을 겪으며 정부가 혼란을 겪은 점도 행사 준비에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NYT는 2023년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당시의 운영 실패를 언급하며 “한국은 불과 2년 전에도 국제행사 준비 미흡으로 비판을 받았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APEC 정상회의 기간 동안 연인원 2만 명이 투숙할 수 있는 충분한 숙박시설을 민관 협력을 통해 확보했다”며 “28일 기준 1만 명 이상이 이미 투숙 중으로, 전체 수용 규모의 절반에 해당하며 숙소 부족 현상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반박했다.

외교부는 또 “숙박업소의 자율적인 요금 조정과 경주시의 모니터링 덕분에 현재 숙박 요금은 가을 단풍 성수기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며 “NYT의 지적은 사실과 다소 거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