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영수 교수 "인구 변화 주목⋯블루오션 시장이 열린다"

2024-10-10

인구 절벽 시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해야

제조 아닌 서비스, 내수로⋯"고정관념 탈피를"

"파도가 일 때는 서핑을 하라고 말합니다. 대부분 파도만 기다리지만, 서핑을 하기 위해선 파도가 아닌 바람을 봐야 합니다. 그런 점에서 봤을 때 인구 위기도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난 8일 전북일보 리더스 아카데미 11기 강연자로 나선 전영수 한양대 국제학대학원 교수는 '인구 변화와 미래 기회'라는 주제를 들고나왔다. 그는 지금 대한민국의 가장 중요한 이슈인 인구 문제를 다각도로 분석하며 저출생·고령화가 위기인 동시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전 교수는 "한국은 선진국을 추격하는 '패스트 팔로워' 방식으로 급격한 성장을 이뤘지만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며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한국은 선진국의 공통적 특징인 성장 악화, 재정 악화 외에도 인구 악화를 겪고 있다.

실제로 한국의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인구 유지선(2.1명)을 한참 밑돈다. 한국보다 먼저 선진국에 진입한 유럽연합(EU)의 합계출산율(1.7∼1.8명)보다도 낮다.

전 교수는 "앞으로 인구는 늘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인구를 늘린다는 것은 '제로섬 게임'에 불과하다는 것이 그의 판단이다. 전 교수는 인구 감소 폭을 완화하며 적응하는 것이 현실적인 전략이라고 했다.

그는 이러한 한국의 저출산 원인 가운데 하나로 '서울 쏠림 현상'을 꼽았다. 서울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우수 인재가 몰리며 경쟁 심화와 가격 상승 등의 부작용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그는 "고밀도 공간에서 살아남으려면 '최소한의 경비로 최소한의 삶'을 살아야 하기 때문에 청년들의 연애, 결혼 기피는 어쩌면 당연한 결과"라고 했다.

그러면서 전 교수는 저출산·고령화라는 인구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비즈니스 전략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그는 금융은 고령사회를 지탱하는 기본 인프라로, 초고령사회의 최대 수혜 산업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치매, 신탁 상품 등이 부상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 밖에 그는 유연 직장, 평생 싱글, 노후 대비, 은퇴 반발 등을 생애주기별 10대 이슈 트렌드로 꼽으며 "기존 비즈니스 모델 안에 이러한 인구 변화(제품 및 서비스) 트렌드를 하나만 연결해 풀어도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 교수는 끝으로 "인구 변화에 따라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수정하는 뉴노멀이 올 것"이라며 "과거의 잣대로 현재를 재단해서는 안 된다. 상식은 달라졌는데 제도는 그대로라면 미스매칭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생각부터 바꿔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리더스아카데미 #전영수

문민주 moonming@jjan.kr

다른기사보기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