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 시대,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교육계 전문가들이 모여 AI 교육의 방향을 모색했다.
한국정보교육학회는 19일 서울 여의도동 국회의원회관에서 한국정보과학교육연합회, 한국컴퓨터교육학회와 함께 'AI 교육, 대한민국 미래를 위한 길을 묻다'를 주제로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는 이정헌 더불어민주당 의원,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 정우성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 정의라 과학정보통신부 소프트웨어기반조성 팀장, 조선혜 교육부 사무관 등이 자리했다. 이날 간담회 사회는 마대성 한국정보교육학회장이 맡았다.
간담회에 모인 참석자들은 현행 교육 구조에서 AI 교육을 실현하기 어렵다는 것에 동의했다. 신갑천 컴퓨팅교사협회장(와석초 교사)에 따르면 현재 초등 정보교육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해 6학년이 연간 68시간 중 17시간을 실과 교과 1개 단원에서 배우고 있다. 사실상 체험 수준에 그치는 비중이다. 2022 개정교육과정에서 정보교육에 변화가 생겼지만, 선택적 운영에 맡기면서 실제로 확대될지는 미지수다.
문광식 한국정보교사연합회장(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은 “초등학교 AI 교육은 정보 교육의 목표 제시가 불분명하고, 강사에 의존하고 교육 편차가 심화하고 있다”며 “정보 교육 시수가 부족해 정보 교과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차등적인 교육과정이 디지털 격차를 더 심화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문 회장은 “중학교 3년간 정보 수업은 68시간으로 전국 AI중심학교 교육과정 편성을 분석한 결과 정보 과목을 34시간 편성했다”며 “전국 1800여개 고교의 교육과정에서 정보나 AI기초 과목이 편성된 학교는 각각 58%와 46%에 그쳤다”고 밝혔다.
참석자들은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AI 교육을 위해 저학년부터 순차적인 정보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홍지연 순천향대 AI융합교육학과 교수는 “초등교육에서 정보교과를 신설하는 것은 포용적 AI 교육의 시작점”이라며 “초·중·고로 이어지는 정보교육의 연계성, 절차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 시기적 측면, 디지털 콘텐츠에 노출된 상황에서의 디지털 시민성 양성 차원에서 초등학교 단계에서 정보 교과가 신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교 안에서의 AI 교육을 위해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에도 참석자들의 공감대가 형성됐다. 허희옥 한국컴퓨터교육학회장은 △정보 교과 교육과정 개정 △정보·컴퓨터 관련 교사 양성 △AI 교육 관련 국가 정책 개선 △AI 교육을 위한 정보교육 관련 법 개정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허 회장은 “초·중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교사 양성과 재교육 체계 개선해 초·중·고 정보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신 회장은 “필수 교과가 아니기 때문에 참여 교사가 제한적이고, 교사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AI 교육은 학교나 교사 재량에만 맡기면 실천이 어렵기 때문에 ICT, 소프트웨어(SW) 교육처럼 법 개정을 통해 초등과정에 정보 교과를 신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지희 기자 easy@etnews.com



![“AI가 재편하는 세계 질서, 한국 나아갈 길 찾는다” [2025 중앙포럼]](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19/93ed73aa-a510-4bf8-b2b6-e24aa98c9d7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