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 車·철강 중복 관세는 피했지만…“마지막 대미 협상에 촉각”

2025-07-0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상호 관세율 25%를 발표하면서 산업계는 관세가 미칠 영향과 관세 부과 이전 사실상 마지막 기회가 될 정부의 협상 성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자동차와 철강 등에 적용 중인 기존 품목 관세와 상호 관세가 중복 부과되지 않는다는 점은 다행이지만, 다른 품목에 미칠 직간접 영향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산업계는 미국이 상호 관세 발효 시점을 당초 예고한 7월 9일에서 8월 1일로 연기하면서 안도의 한숨을 쉬면서도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특히 관련 기업은 정부가 추진 중인 대미 관세 협상 성과에 기대를 걸고 있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7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 장관을 만나 자동차·철강 등 한국의 대미 주력 수출품에 부과된 품목 관세를 놓고 경쟁국 대비 우호적 대우를 요청했다. 정부는 상호 관세 유예 연장, 품목 관세의 철폐나 인하 등 한국 측 입장을 피력해 왔다.

앞서 산업계는 대미 투자를 확대하며 현지 생산을 늘리는 등 생산 거점을 재편하는 방식으로, 나름의 자구책을 마련하며 관세에 적극 대비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조지아주에 신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가동을 시작했고, 현대제철은 2029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루이지애나주에 연간 270만톤 규모의 전기로 제철소를 건설 중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미국에 가전 생산 기지를 운영하지만 현지 생산은 세탁기 등 일부 제품에 국한됐다. 세탁기 이외 주요 제품은 한국과 멕시코, 베트남 등에서 생산해 미국에 수출하는 방식이어서 관세를 피하긴 어려운 실정이다. 상호 관세 영향이 본격화할 가능성이 큰 하반기에는 실적 불확실성이 더 커질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방미 일정을 마무리하는 대로 관세 문제에 대한 기조를 설정해야 한다”며 “큰 방향성이 빨리 나와야 업계에서도 이에 대응할 제대로 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연 기자 chiyeon@etnews.com, 조성우 기자 good_sw@etnews.com, 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