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한강버스 안전·재정 모두 불안”… 오세훈 “문제없다"

2025-10-20

국토위 서울시 국감서 ‘한강버스’ 집중 포화… 고장·배터리 위험·SH대출 논란 이어져

2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서울시 국정감사에서는 오세훈 시장의 역점사업인 ‘한강버스’가 도마 위에 올랐다.

여당 의원들은 취항 열흘 만에 고장으로 운항이 중단된 점을 지적하며 안전성과 재정 구조 모두에 문제를 제기했다.

더불어민주당 천준호 의원은 “시범운항 당시 발전기 방전에 대한 지적이 있었는데도 개선되지 않아 정식 운항 때도 같은 고장이 반복됐다”며 “시범운항 조치 내역을 요청하자 서울시는 ‘민간사업자(㈜한강버스) 소관’이라며 자료가 없다고 했다. 결국 오 시장이 안전 점검 없이 운항을 밀어붙인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오세훈 시장은 “총체적으로 안전상 문제없다고 보고받았다”며 “참여업체인 이크루즈가 선박 운항의 전문성과 기술 노하우를 갖고 있다. 세부 고장 사항은 실무자 선에서 점검 중”이라고 해명했다.

안전성 논란은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화재 위험성으로 이어졌다.

민주당 이연희 의원은 “배터리는 물에 약하고 열폭주 위험이 큰데, 여름 폭염 시에도 안전한지 시험한 적이 있느냐”고 따졌다.

같은 당 신영대 의원도 “시범운항 당시 화재 진화용 분말소화기만 비치돼 있었고, 화재 발생 시 상방향으로 폭발을 유도한다는 매뉴얼이 있었다”며 “위쪽에 승객이 탑승하는데 상방향 폭발 유도라니 납득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현재 사용 중인 배터리는 선박용으로 가장 안전한 등급이며,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등 전문기관으로부터 안전성을 여러 차례 검증받았다”며 “화재 대응 매뉴얼도 완비돼 있다”고 해명했다.

오 시장도 “한강버스 12대 중 4대가 전기 추진체로 운항되지만 국내 최초는 아니며, 유사한 사례가 있다”며 “안전 문제에는 각별히 신경 쓰겠다”고 덧붙였다.

재정 구조를 둘러싼 논란도 거셌다.

민주당 이건태 의원은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한강버스 사업에 담보 없이 876억 원을 대출한 것은 지방공기업법 위반이자 배임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전용기 의원은 “SH가 은행에서 500억 원을 대출받을 때 ‘컴포트 레터(comfort letter)’를 써줬는데, 이는 한강버스가 파산할 경우 선박을 SH가 인수하고 채무를 대신 갚겠다는 의미”라며 “사실상 서울시가 보증을 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오세훈 시장은 “담보는 없지만 법적으로 상환받을 장치가 마련돼 있다”며 “초기에는 적자가 불가피하더라도 2~3년 후면 충분히 흑자 전환이 가능하다는 판단”이라고 반박했다.

한 여당 의원이 “한강버스는 시장의 개인적 꿈을 실현하기 위한 사업 아니냐”고 묻자, 오 시장은 단호히 부인했다.

그는 “이 사업은 제 개인의 정치적 목적이 아니라, 한강 인근 주민뿐 아니라 모든 시민이 한강을 더 가깝게 체험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시도”라며 “안전과 효율성을 보완해 시민의 자산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임형찬기자

limhc@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