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금융신문=송기현 기자) 증시에서 최근 대형주와 중소형주 간 수익률 양극화가 심화하는 가운데 분산투자를 표방하는 상장지수펀드(ETF)조차도 소수 대형주에 집중 투자하는 상품이 쏟아져 주의가 요구된다.
7일 금융투자업계와 IBK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달 신규 상장된 12개의 ETF 가운데 절반인 6개 상품은 특정 테마에 맞춰 일부 대형주에 집중 투자하는 방식의 이른바 테마 집중형 상품이었다.
'TIGER 코리아AI전력기기TOP3플러스', 'RISE 글로벌게임테크TOP3Plus', 'RISE 미국고배당다우존스TOP10', 'SOL 미국넥스트테크TOP10액티브', 'HANARO 증권고배당TOP3플러스', 'KODEX K조선TOP10' 등이다.
대개 해당 ETF의 테마와 집중 투자할 대표 종목 수를 조합해 상품명을 지었다.
가령 TIGER 코리아AI전력기기TOP3플러스는 K-전력기기에 대한 높아진 시장 관심을 반영해 출시된 상품으로, 전날 기준 HD현대일렉트릭·효성중공업·LS ELECTRIC 3개 종목에 70% 이상을 집중 투자하고 있다.
HANARO 증권고배당TOP3플러스는 한국금융지주·미래에셋증권·NH투자증권에 3개 종목에만 총 60% 이상, KODEX K조선TOP10[0115D0]은 한화오션·삼성중공업 등 4개 종목에 85% 가까이 집중 투자된다.
소수 대형주 중심의 테마 집중형 ETF의 인기는 최근 대형주 중심으로 강세장이 펼쳐지고 있는 상황과 맞닿아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상위 1∼100위권의 대형주로 구성된 코스피 대형주 지수는 연초 대비 전날 74.5% 급등해, 같은 기간 코스피 중형주 지수(40.2%) 및 코스피 소형주 지수(16.7%)의 상승률을 크게 앞섰다.
ETF가 기본적으로 분산 투자로 안정적 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이기는 하지만, 최근 강세장의 편승 효과를 높이고 상품 홍보에도 유리해 테마 집중형 ETF 출시가 늘고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유의할 부분도 있다.
김인식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주요 운용사들이 '톱(TOP)3'·'TOP10'과 같은 형태의 소수 종목 집중형 구조를 도입하면서 시장의 대형주 쏠림이 강화되고 단기 모멘텀도 확대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압축형 테마 상품의 확산은 변동성 노출 리스크를 내포하고 구성 종목의 개별 이벤트에 따라 성과 편차도 커질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특징주] 제약·바이오株 나홀로 급등...'에이비프로바이오·경남제약' 30%↑](https://img.newspim.com/news/2018/12/18/1812181654556460.jpg)
![[기자의 눈] 규제가 혁신을 막는 ‘ETF 후진국’](https://newsimg.sedaily.com/2025/11/05/2H0C4XORFA_1.jpg)
![[AI의 종목 이야기] 로빈후드, 트럼프 시대 '카지노 뺨치는' 시장서 주가 450% 폭등](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에이피알·HD현대마린솔루션, MSCI 한국지수 신규 편입 [마켓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06/2H0CKMDF5I_1.jpg)
![[ET특징주]노타, 코스닥 상장 셋째날도 상승세](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05/news-p.v1.20251105.a9fcd28131cc4039a6eb26da7d208406_P1.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