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플린이 사랑을 통해 탈출했다면? 나는 글쓰기로 탈출을 시도!

2024-09-16

20세기를 뒤흔든 배우 찰리 채플린이 미국에서 매카시 열풍이 불 때 사회주의자로 몰린 것은 충분히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영화 <모던 타임즈>에서 그는 자본주의의 폐해에 대해 신랄하게 풍자하고 비판하는 연기를 했다. 포드식 공장형 작업 벨트에서 그가 하는 일은 나사를 조립하는 일이다. 팬 베이어 벨트가 계속 돌아가기 때문에 자기 순서를 놓치면 안 된다. 노동자는 작업 시간 내내 잠시도 한 눈을 펴지 못하고 자기 앞으로 다가오는 나사를 조여야 한다. 이 일을 너무나 오랫동안 반복을 하다 보니 그에게는 모든 것이 나사로 보인다. 나중에는 사랑하는 여인의 유두를 보이고서 나사 돌리기를 한다. 이런 채플린의 연기는 자본주의에 대한 다른 어떤 이론 비판 못지않고, 그 영향력도 컸다.

이 영화를 보다 보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사는 우리들 모두 끊임없이 돌아가는 벨트 위에 놓인 나사 같은 부품들이라는 느낌이 든다. 일단 이 체제 안에 들어오면 태어나면서 죽을 때까지 자신들의 위치를 지정받고 주어진 역할을 충실히 하면서 등급에 따라 지위가 달라진다. 물론 지위가 달라진다 해도 이 체제를 벗어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체제가 요구하는 기능을 갖추고 역할을 다한 자는 이 체제 안에서 성공한 자이고, 그렇지 못한 자의 등급이나 지위는 낮고 최악의 경우는 루저(looser)로 낙인찍혀 체제 밖으로 몰릴 수도 있다. 하지만 성공한 자들 역시 자본주의라는 거대한 기계의 부품이라는 사실을 부인할 수가 없다. 부품으로서의 정체성을 인정할 때만이 안락한 가정과 사회적 지위를 유지할 수가 있다. 그것을 거부하는 순간 그 역시 이 체제 밖으로 내팽개쳐질 가능성이 상존해 있다.

나는 오래전부터 나 자신을 아웃사이더(outsider) 혹은 경계인(marginal man)이라고 규정지어 왔다. 내가 이 체제 혹은 이 사회의 중심에 거주한 적이 없었다는 생각 때문이다. 이런 나의 관념은 자리 잡지 못한 것에 대한 박탈감 때문일 수도 있고, 이 체제 안에 뿌리내리지 못할 것이라는 숙명적 사고 때문일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 체제에 대한 불신으로 끊임없이 이 체제 밖으로 탈출을 도모하기도 했다. 하지만 좋은 싫든 나는 이 체제에 중심에 자리를 잡지 못하고, 그렇다고 이 체제를 탈출하지도 못한 상태로 주변부에서 얼쩡 거리고 있을 뿐이다. 때문에 나는 하나의 정체성을 인정받기보다는 안과 밖을 넘나드는 경계인의 장점도 가지고 있다. 게다가 그나마 하던 대학 강의도 그만두다 보니 이 체제에 대한 최소한의 소속감도 없는 편이다. 말이 좋아서 프리랜서(freelancer)이지 한 마디로 생계 수단으로부터의 자유나 다름없고, 죽도록 먹거리를 찾지 못하는 한 생존 가능성이 의심받는 처지일 수밖에 없다.

채플린은 경찰의 추격을 받으면서 도망치다가 비슷한 처지로 도망을 다니는 가난한 소녀를 만난다. 둘은 바로 사랑에 빠지지만 여전히 경찰의 추적을 받는다. 하지만 이제 홀로 쫓겨 다니는 예전과 같지는 않다. 먼동이 트는 새벽에 둘은 손을 꼭 잡고 희망을 찾아간다. 사랑은 채를 린이 자본주의 체제를 벗어나는 하나의 탈출구라 할 수 있다. 그는 마르크스처럼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통해 자본주의 체제를 극복할 힘도 없고 자신도 없다. 그런 그가 이 체제를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낭만적 사랑이다. 몸은 이 체제 안에 갇혀서 매일 같이 생존을 걱정해야 하지만, 둘의 낭만적 사랑은 이 체제 어디에도 갇히지 않는다. 이들의 사랑은 이 체제를 벗어날 수 있는 강력한 힘이다. 이 현실에 뿌리를 두지 않는 낭만주의(romanticism)는 영원히 동경할 뿐이다.

나 역시 자본주의 체제를 벗어날 힘은 없다. 하지만 더 이상 힘차게 돌아가는 자본주의의 팬벨트 위에 묶여 있지 않기 때문에 나는 얼마든지 이 체제를 벗어나는 상상을 할 수가 있다. 아웃사이더나 경계인은 존재 조건상 어느 정도는 그것이 가능하다. 나는 출근하지 않아도 되고, 점심을 누구와 같이 할까, 퇴근 후에는 누구와 어울려 술을 마셔야 하는 고민도 하지 않는다. 책상 위에서 노트북을 켜는 순간 나는 공간적 구속을 받지 않고, 화엄의 인드라망과 같은 네트워크를 누구의 구속도 받지 않고 넘나들 수 있다. 나를 감시하려는 자도 쉽게 할 수는 없다. 나는 나로서, 언제든 이 체제를 넘나들 수 있다. 그런 면에서 나 역시 이 체제 안의 부품이지만, 나는 최소한 이 부품에 대해 반성하면서 초월의 꿈도 꾸고 있다. 가능할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나는 아웃사이더이자 마지널 맨으로 꿈을 꾸고 초월을 한다. 채플린이 사랑을 통해 탈출했다면, 나는 글쓰기로 탈출을 시도한다. jogel4u@outlook.com

*필자/이종철

철학박사.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근간 “철학과 비판”의 저자. 칼럼니스트.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What if Chaplin escaped through love? I tried to escape through writing!

- Lee Jong-cheol, Ph.D. in Philosophy

There is a good reason why Charlie Chaplin, an actor who shook the 20th century, was accused of being a socialist during the McCarthy fever in the United States. In the movie Modern Times, he acted in a way that satirized and criticized the evils of capitalism. His job on a Ford-style factory work belt is to assemble screws. Since the fan-bearer belt keeps turning, he cannot miss his turn. The worker has to tighten the screw that approaches him without taking his eyes off for a moment during the work. After repeating this for so long, everything looks like a screw to him. Later, he shows the nipples of the woman he loves and turns the screw. Chaplin’s acting was no less than any other theoretical critique of capitalism, and its influence was also great.

Watching this movie, you get the feeling that all of us living in a capitalist society are like screws on a constantly turning belt. Once you enter this system, you are assigned a position from birth until death, and your status changes according to your rank while faithfully fulfilling your given role. Of course, even if your status changes, you cannot escape this system. Those who have the functions required by this system and fulfilled their roles are successful within this system, and those who do not have a low rank or status, and in the worst case, they may be branded as losers and driven out of the system. However, successful people cannot deny the fact that they are also parts of the huge machine called capitalism. Only when they acknowledge their identity as parts can they maintain a comfortable home and social status. The moment they reject this, there is always the possibility that they too will be thrown out of this system.

I have long defined myself as an outsider or marginal man. This is because I have never lived in the center of this system or this society. This perception of mine may be due to a sense of deprivation from not being able to settle down, or it may be due to a fatalistic thought that I will not be able to take root in this system. On the other hand, I have constantly tried to escape from this system due to my distrust of this system. But whether I like it or not, I am not able to establish myself in the center of this system, and I am just wandering around on the periphery without being able to escape it either. That is why I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 marginalized person who goes back and forth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rather than being recognized as having a single identity. In addition, since I quit the university lectures I was teaching, I do not have even the slightest sense of belonging to this system. It is called a freelancer, but in a word, it is no different from freedom from a means of livelihood, and unless I can find food to eat, my chances of survival are inevitably questioned.

While running away from the police, Chaplin meets a poor girl who is also running away in a similar situation. The two fall in love right away, but they are still being pursued by the police. However, it is no longer like before when he was being chased alone. At dawn, the two hold hands tightly and search for hope. Love can be said to be Chaplin’s escape route from the capitalist system. Unlike Marx, he does not have the strength or confidence to overcome the capitalist system through proletarian revolution. The only way for him to escape this system is romantic love. His body is trapped in this system and must worry about survival every day, but their romantic love is not trapped anywhere in this system. Their love is a powerful force that can escape this system. Romanticism that is not rooted in this reality is something I will only yearn for forever.

I also do not have the power to escape the capitalist system. However, since I am no longer tied to the powerful fan belt of capitalism, I can imagine escaping this system at any time. It is possible for outsiders or marginalized people to some extent due to their conditions of existence. I do not have to go to work, and I do not have to worry about who to have lunch with or who to have a drink with after work. The moment I turn on my laptop at my desk, I am not restricted by space, and I can move through a network like Indra’s net of the Avatamsaka Sutra without anyone’s constraints. Even those who try to monitor me cannot do so easily. As myself, I can move through this system at any time. In that sense, I am also a part of this system, but at least I am reflecting on this part and dreaming of transcendence. I don’t know if it is possible, but anyway, I dream and transcend as an outsider and a marginal man. If Chaplin escaped through love, I try to escape through writing. jogel4u@outlook.com

*Author/Jong-cheol Lee

Doctor of Philosophy. Yonsei University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Author of the forthcoming “Philosophy and Criticism.” Columnist.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