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석학 영입 2년 연속…로봇 조직 이어 SAIT 강화
박홍근 하버드 교수 영입, 원천기술 경쟁력 확보 의지
"첫째도 둘째도 기술" 외부 전문가 영입 속도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삼성전자가 하버드대 출신 박홍근 교수를 삼성종합기술원(SAIT) 원장으로 영입하며, 지난해 오준호 한국과학기술원(KAIST) 명예교수를 로봇 조직 초대 단장으로 발탁한 데 이어 2년 연속 외부 석학을 최고 연구조직 전면에 배치했다.
반도체·로봇 등 핵심 분야에서 원천기술 경쟁력을 직접 끌어올리려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기술 중심' 인사 기조가 더욱 뚜렷해졌다는 평가다.
21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박홍근 신임 SAIT원장은 양자컴퓨팅과 나노 과학 분야에서 25년 넘게 연구를 이끈 세계적 석학으로, 내년 1월부터 삼성전자 미래 디바이스 연구를 총괄한다. 회사는 박 원장이 양자·뉴로모픽 등 차세대 반도체 연구를 본격적으로 주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 국내 로봇 전문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한 뒤 대표이사 직속으로 미래로봇추진단을 신설했다. 휴머노이드를 포함한 미래 로봇 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조직으로, 초대 단장은 레인보우로보틱스 창업 멤버이자 KAIST 명예교수인 오준호 교수가 맡았다.
이처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외부 석학 영입이 이어지면서 삼성의 연구 체계는 기초과학 분야의 근본적 경쟁력을 다지는 방향으로 강화되고 있다. 반도체와 스마트폰 등 주력 사업에서 인공지능(AI) 경쟁이 심화된 상황에서, 기존 사업조직 중심 구조만으로는 부족한 원천기술 역량을 외부 최고 전문가 수혈을 통해 보완하겠다는 의지가 한층 분명해졌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외부 전문가 영입 흐름의 배경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분명한 인재 철학이 자리한다. 이 회장은 "첫째도 기술, 둘째도 기술"이라고 강조해온 만큼 기술 경쟁력을 기업 생존의 핵심으로 판단하고 역량 중심 인사 체계를 꾸준히 강화해 왔다. 국적과 성별을 따지지 않고 '성과와 실력'으로 인재를 평가해야 한다는 기준 역시 이러한 경영 철학과 맞닿아 있다.
삼성이 미래기술 분야에서 기초 연구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외부 전문성을 적극적으로 수혈하는 단계로 전환했음을 보여준다는 평가도 나온다. 삼성전자는 수시 인사를 통해 외부 인재 영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4월에는 3M과 펩시코 등 글로벌 기업에서 최고디자인책임자(CDO)를 역임한 마우로 포르치니를 디바이스경험(DX)부문 CDO 사장으로 영입하며 디자인 역량을 보강했다.
syu@newspim.com



![[속보] 삼성전자 DX부문 CTO 사장에 윤장현 삼성벤처투자 부사장](https://newsimg.sedaily.com/2025/11/21/2H0JGZMWX6_1.jpg)

![[에듀플러스]윤성우 한국외대 총장 후보, “'AI+다국어·지역학' 융합 모델로 경쟁력 강화…약대 신설도 속도”](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20/news-p.v1.20251120.a9af9241b7fb43abb023d561749ccc71_P2.jpg)

![[프로필] 삼성물산 리조트부문 송규종 신임 사장](https://img.newspim.com/news/2025/11/21/251121100950435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