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장 잔디 화두로 떠올라⋯K리그 축구장 전수 조사
"잔디는 경기력뿐 아니라 부상 방지 등 전체적 문제"

문화체육관광부는 27일 최근 선수들 경기력에 영향을 끼쳐 논란이 된 축구장의 잔디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프로축구연맹과 함께 K리그 경기가 열리는 축구장 등 27곳의 잔디 상태를 전수 조사한다고 밝혔다.
최근 축구장 잔디 상태가 최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달 말 전북현대는 아시아축구연맹 챔피언스리그 TWO(ACLT) 8강 1차전을 앞두고 홈 구장인 전주월드컵경기장이 아닌 용인미르스타디움에서 경기를 치렀다.
당시 잔디 문제로 인해 전주월드컵경기장의 그라운드 상태가 부적합하다는 판정을 받은 것이다. 최근 저온 현상과 강·폭설 등 악천후 속에 경기를 치르면서 최상의 잔디 상태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전북현대 이승우도 잔디 상태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이승우는 "저희 말고도 다른 경기도 마찬가지지만 땅이 얼어 있어 킥을 못 한다. 밟아도 잔디가 들어가지 않는다. 땅을 제대로 딛고 공을 차야 하는데 미끄러지고 경기가 끝나면 온몸이 아프다"고 지적했다.

지난 25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2026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8차전을 치른 대표팀 주장 손흥민도 "저희 더 잘할 수 있다. 더 잘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홈에서 하는데 잔디가 발목을 잡으면 이점을 도대체 어디서 잡아야 하나 생각을 해 보게 되는 것 같다"고 했다.
이재성도 경기 전날 기자회견에서 "경기를 하루 앞두고 잔디·환경 문제를 이야기하는 것이 너무 안타까운 현실이다. 핑계라고 할 수 있지만 확실히 많은 부분에서 경기력에 지장이 간다"고 토로했다.
이에 문체부와 연맹은 연맹 내에 잔디 관리 전담 부서를 특별히 신설해 일본 등 선진사례 조사에 착수했다. 4월부터 K리그 경기장을 조사해 상반기 중 잔디 상태 문제점과 원인을 분석하고 경기장별 맞춤형 개선 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다.
특히 경기장의 특성과 기후 조건 등 고려해 △노후화된 잔디 교체 △인조 잔디 품질 개선 △열선 및 배수 시설 관리 등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장기적인 잔디 유지·관리 지침 마련과 현장 점검 강화 등을 제안할 계획이다.
또 문체부는 올해부터 공공체육시설 개·보수 지원 공모사업을 통해 지자체와 함께 축구장 잔디 교체 등 경기장 개선을 적극 지원하고 추후 전수조사 대상 경기장을 확대할 예정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경기장의 잔디 상태는 선수들의 경기력뿐 아니라 부상 방지, 팬들의 관람 만족도 등 경기의 전체적인 품질과도 직결된다"면서 "조사를 통해 경기장의 잔디 상태를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도출하고 연맹과 구단, 경기장 운영 주체 등과의 협력·소통을 강화해 지속적인 관리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부=박현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