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폭염 뒤 나온 첫 기후교과서 환영한다

2024-09-03

기후위기를 다룬 고교 사회과 교과서 2종이 지난달 교육청 인정을 통과했다. 천재교육과 씨마스에서 각각 만든 것으로, 과목명은 <기후변화와 지속가능한 세계>다. 이로써 처음으로 일상이 된 ‘기후변화’가 사회과 융합과목 선택 과목 교과서 중 하나가 됐다. 땅과 바다 가릴 것 없이 기후 관련 모든 기록이 해마다 ‘역대급 행진’을 이어가는 나라에서, 기후위기를 다룬 교과서가 인정됐다는 것은 늦었지만 반가운 일이다.

새 교과서는 그동안 기후를 다뤘던 기존 교과서들과는 달리, 기후위기의 정치·경제·사회적 측면을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췄다. 기존 교과서들이 대체로 개인의 노력을 강조하거나 심각성을 알리는 데 그쳤다면, 기후위기를 모든 세대의 실존적 위기로 인식하고 사회 구조적인 문제로 다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 교과서는 지리교육계 전반에서 기후위기 교육의 필요성에 공감대가 형성돼 2021년 7월 교육부에 제안한 게 발단이 됐다고 한다. 교육부가 받아들인 것은 기후위기 시대 관련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를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해외에서는 이미 기후변화 대응을 정규 교과 과정에 편성하는 추세다. 스웨덴은 여러 교과목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통합 교육을 시행하고, 이탈리아는 2019년 세계 최초로 기후변화를 필수 교과목으로 채택했다. 반면 한국은 필수가 아닌 선택과목이다보니 입시 위주의 교육 현장에선 외면받는 실정이다. 2022년 기준으로 환경 과목을 가르치는 학교는 전국 중고등학교 5631개 중 875개로 15.5%에 불과하다. 그만큼 학생들이 기후위기 등 환경 관련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적다는 뜻이다.

기후위기는 단순한 환경문제가 아니라 삶의 기반을 뒤흔드는 재난이다. 더 늦기 전에 지속 가능한 사회로의 출구를 찾아야 한다. 특히 기후위기는 미래세대에 더 치명적이기 때문에, 기성세대가 미래 세대에게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지식과 소양을 가르쳐야 할 책임이 있다. 그러려면 학교에서부터 기후위기와 에너지 과소비를 막기 위한 노력을 실천하는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실효적이고 광범위한 기후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이번 기후변화 교과서가 그 시작이 되길 바란다. 선택과목이 개설됐다고 해서 모든 학생들이 이 수업을 듣는 것은 아니다. 교육당국이 중고교 교과과정 필수과목 지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