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황 통 큰 약속 'GPU 26만장 공급'…한국에 남은 과제는

2025-11-06

AI 3대 강국 도약 향한 발판 마련… 정부·기업에 '청신호'

전력·냉각 인프라 및 인재 확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아

[미디어펜=배소현 기자]젠슨 황 엔비디아 CEO(최고경영자)가 한국 정부와 기업에 GPU(그래픽처리장치) 26만 장을 공급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인프라 부족에 허덕이던 국내 AI 생태계에 청신호가 켜졌다. 다만 GPU 도입 이후의 활용 방안이 더욱 중요한 만큼 후속 지원책부터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6일 업계에 따르면 'AI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하는 한국의 GPU 보유량은 현재 6만5000장 수준이다. 이는 AI 선두 국가인 미국(2000만 장)과 중국(150만 장 추정)에 비하면 현저히 뒤처진 수치다.

이에 그간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의 AI 경쟁력은 선두 국가에 비해 부족하다는 평가가 따랐다. AI 사업에 필요한 반도체 생산 역량·제조 데이터·네트워크 등 분야에서는 뛰어난 역량을 갖췄음에도 한국은 이를 적용할 인프라가 열악한 탓에 기술 고도화에 힘을 쓰지 못했단 분석이다.

AI 인프라 부족 문제는 정부 차원에서도 큰 골칫거리로 통했다.

지난 정부와 더불어 현 이재명 정부는 모두 AI 3대 강국을 목표로 내세우며 다양한 정책을 펼쳤다. 특히 이재명 정부는 AI 역량 강화를 위해 네이버 연구원 출신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과 LG AI연구원장 출신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부총리를 임명하는 등의 획기적인 인사도 단행했다. 이를 통해 강력한 컨트롤 타워를 구축했지만 인프라 부족 문제가 발목을 잡아왔다.

기업들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NAVER(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LG연구원 '엑사원' △SK텔레콤 '에이닷' △KT '믿음' △카카오 '카나나'(출시 예정) 등 다양한 국산 AI 모델이 쏟아져 나왔지만 챗GPT 등 글로벌 빅테크와의 격차는 좀처럼 줄이기 어려웠다. 게다가 네이버와 LG연구원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해외 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에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GPU 26만 장 공급을 약속하면서 그간 발목을 잡았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됐다. 26만 장을 공급받게 되면 총 30만 장 이상의 GPU를 확보하게 되는데, 이 경우 한국은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 3위의 GPU 보유 국가로 올라서게 된다.

정부 차원에서도 AI 관련 정책들을 구체화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GPU 5만 장을 국가 AI 컴퓨팅센터 구축에, 삼성·SK·현대차에 각각 5만 장씩, 네이버클라우드에 6만 장을 공급해 피지컬 AI·AI 반도체·,자율주행 등 핵심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 가운데 국가 AI 컴퓨팅센터는 2조 원 이상을 투자해 2030년까지 GPU 최대 5만 장 규모의 초대형 AI 데이터센터를 짓는 ‘한국형 스타게이트’ 사업이다. 이번 GPU 확보로 관련 정부 사업에 속도가 날 것으로 보인다.

기업의 경우도 확보한 GPU를 기반으로 AI 사업 확장과 기술 고도화 작업을 통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 우선 급한 불은 껐지만… 후속 지원책 시급

다만 GPU 확보만으로 AI 3대 강국이 자동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한국은 GPU를 구동할 전력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 냉각 인프라와 AI 사업을 함께 발전시킬 인력도 넉넉하지 않다.

전력 공급망 구축의 경우 GPU 1개 당 소비전력을 1.4kW 전후로 추산하면 26만 장에는 약 400MW가 필요하게 된다. 여기에 고성능 데이터센터를 짓기 위해서는 냉각장치구축도 시급하다. 냉각 등 부속 설비까지 적용하면 500~600MW의 전력이 소모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도 확대되는 AI 연산 수요를 안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선 SMR(소형모듈원자로) 등 에너지 인프라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AI 안전과 신뢰 체계를 정비하기 위한 법제 정비도 시급하다. 무엇보다도 AI 인재 양성과 더불어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한 정책적 지원도 필수적으로 뒷받침돼야 한다.

전문가들을 중심으로도 GPU 도입 이후의 활용 방안이 더욱 중요한 만큼 관련 후속 지원책부터 마련돼야 한다고 목소리 높인다.

일각에서는 기술력 의존 문제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엔비디아와 협업을 강화하는 것이 역설적으로는 기술 종속을 심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GPU 26만 장 확보는 한국 AI 산업 성장에 분명한 전환점"이라면서도 "이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AI 인프라를 전적으로 엔비디아에 의존하는 것은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리스크가 클 것"이라며 "공급처를 다양화하고 자국형 플랫폼을 확고히 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