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사랑에 빠진 일본...'네코노믹스' 효과 28조원

2025-02-21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인의 고양이 사랑은 각별하다. 2월 22일을 '고양이의 날'로 제정해 기념할 정도다.

"니야 니야"라는 고양이 울음소리와 숫자 "2(니)"의 일본어 발음을 결합해 지난 1987년 펫푸드 회사의 애묘인들이 2월 22일을 고양이의 날로 제정했다.

고양이가 창출하는 경제 효과도 막대하다.

일본어로 고양이를 뜻하는 '네코'와 '이코노믹스'를 결합해 '네코노믹스'라는 조어를 만들어 낸 간사이대학교 미야모토 가쓰히로 명예교수는 "관련 상품 및 고양이 카페 등의 서비스 매출을 포함한 경제 효과는 올해 약 2조9000억엔(약 28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2022년(1조9690억엔) 대비 약 50% 증가한 수치다. 미야모토 교수는 "2021년 도쿄올림픽의 경제 효과에 필적하는 수준"이라며 "고양이가 일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강조했다.

◆ '고양이의 날' 관련 상품·서비스 시장 확대

관련 상품과 서비스 시장은 점차 확장되고 있다. 편의점과 백화점에서는 고양이 날 관련 매장이 2월의 대표적인 풍경이 된 지 오래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패밀리마트는 올해 역대 최다인 21종의 독자적인 고양이의 날 상품을 출시했다. '패밀리냐트 대작전!'이라는 타이틀로 18일부터 고양이 얼굴과 발바닥 모양의 디저트 등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세븐일레븐은 '냥코 발견!'이라는 캠페인으로 14일부터 고양이를 모티브로 한 빵과 디저트를 판매하고 있다. 지난해 5종에서 23종으로 상품을 대폭 확대했다. 세븐일레븐 관계자는 "새로운 고객층을 개척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백화점과 온라인도 예외가 아니다. 마쓰야백화점 긴자점은 25일까지 고양이 일러스트가 들어간 가방과 앤티크 소품 등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는 행사를 진행 중이다. 작년보다 판매 공간을 2배로 늘려 약 1300종의 상품을 판매한다.

오다큐백화점 신주쿠점도 24일까지 약 3000종의 상품을 모은 '네코전'을 진행하고 있다. 손뜨개로 만든 고양이용 모자 등 다양한 상품이 준비됐으며, 작년보다 행사 기간을 3일 연장했다.

수제 제품 거래 사이트 미네에서도 지난 3년 동안 고양이의 날 주문량이 평소의 2.5배까지 증가하는 등 온라인에서도 고양이 관련 상품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 스타트업까지 확산되며 시장 더욱 성장

네코노믹스의 영향은 소매업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반려묘의 건강을 걱정하는 보호자들이 증가하면서 관련 서비스가 스타트업까지 확산되며 시장이 더욱 성장하고 있다.

스타트업 토레타캣츠는 억만장자 마에자와 유사쿠가 운영하는 마에자와 펀드 등으로부터 총 8억5000만엔을 조달해 '스마트 화장실'을 개발했다. 고양이가 화장실을 사용할 때마다 체중과 배설량 등 6가지 항목을 측정해 건강 관리를 돕는 서비스다.

반려묘 사료 스타트업 유니아무는 일본 최대 반려동물 보험사인 애니콤 손해보험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기능성 고양이 사료 5종을 오는 3월 출시할 예정이다. 약 120만 건의 보험 데이터를 분석해 고양이의 식습관과 질병 간의 연관성을 연구하고, 신장병 예방, 면역력 강화, 중성화 수술 후 관리에 특화된 사료를 개발했다.

고양이 신장병 치료제를 개발하는 AIM 의학연구소와 IAM CAT은 사이게임즈 등 여러 기업에서 신약 출시를 위한 10억엔 이상의 투자를 유치했다.

goldendog@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