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인인력개발원
민간기업·지역사회 등과도 협력
신노년 세대 맞춤형 일자리 발굴
취약·소외계층 돌보는 사업 확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노인일자리사업을 통해 노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이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노인일자리사업은 노인이 활기찬 건강한 노후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일자리와 사회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2004년 시작됐다. 노인에게 일자리와 사회참여의 기회를 제공해 노인의 빈곤·질병·무위·고독 등 이른바 ‘노인 4고(苦)’ 해소에 도움을 준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노인일자리사업을 통해 올해 103만 개의 노인일자리를 만든 데 이어 내년에 109만8000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다. 사업을 처음 시행했던 2004년에 약 2만5000개였던 노인일자리는 2014년 31만 개, 2018년 51만 개, 2024년 103만 개로 지속해서 늘었다. 20년 만에 약 41배에 달하는 양적 성장을 이룬것이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한국에 새롭게 등장한 신노년 세대가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일자리 모델을 개발·보급하며 노인일자리 성장을 주도한 덕분으로 분석된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연구에 따르면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은 참여하지 않은 노인에 비해 상대 빈곤율은 약 10.2%, 빈곤갭 비율은 약 8.9% 감소했다. 참여자 1인당 약 70만원의 의료비 절감 효과도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실제 참여자인 최모씨(71·여)는 16년간 우울증과 실어증으로 힘들게 살던 중 자녀의 권유로 ‘노노케어’에 참여했다. 노노케어는 노인이 취약계층 노인을 돌보는 노인일자리사업 중 하나다. 최씨는 “노노케어에 참여한 뒤 신기할 정도 로 몸과 마음이 좋아져 새 삶을 살아가고 있다”며 “경제적으로도 도움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한국은 베이비부머 등 새로운 세대가 노인 인구로 편입되고 있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사회와 협력해 신노년 세대 맞춤형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기업이 고령자를 채용하면 인건비를 지원하는 현장실습 훈련(시니어 인턴십) 지원사업, 최대 3억원의 설립자금을 지원하는 노인친화기업·기관 제도도 운용하고 있다. 대전시·강원도 등 지자체와 협력해 지역맞춤형 일자리를 발굴하기도 했다. 에스원 등 민간기업과도 협업해 노인 일자리를 만들었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신노년 세대가 보유한 경험과 능력을 활용해 취약계층·소외계층을 돌보는 사회서비스형 사업을 2019년 신설하고 지속해서 확대했다. 올해 사업 목표량은 총 7만 개로 잡았다.
중공업 회사를 퇴직한 정모씨(61·남)는 현장실습 훈련(시니어 인턴십) 지원사업을 통해 재취업에 성공했다. 숙련된 중공업 기술자인 정씨는 회사에서 젊은 직원들이 빨리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도 한다. 정씨는 “지인들에게 우리도 설 자리가 분명히 있으니 망설이지 말고 현장실습 훈련(시니어 인턴십)에 참여해보라고 권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일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노인일자리법)이 시행되며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정책이 보다 체계적으로 전개되면서 법적 안정성을 갖추게 됐다. 이 법안은 노인이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활동 또는 일자리를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하고, 취업을 지원하는 노인에 대한 정보 제공 및 교육 지원, 노인을 채용하는 기업에 대한 재정 지원, 노인 생산품 우선 구매 지원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천만 노인 시대, 노인의 근로 및 사회참여 확대로 노인빈곤율 완화와 노년의 삶의 만족도 향상, 나아가 경제 활성화 등이 기대된다.
노인일자리법 시행에 따라 주요 사업 명칭도 변경됐다. 공익활동은 노인공익활동사업으로, 사회서비스형은 노인역량활용사업으로, 사회서비스형 선도모델은 노인역량활용 선도모델로, 시장형 사업단은 공동체 사업단으로, 취압알선형은 취업 지원(취업알선형)으로, 시니어 인턴십은 현장실습 훈련(시니어 인턴십) 지원사업으로, 고령자친화기업은 노인친화기업·기관으로 바뀌었다.
김미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장은 “고령 인구가 늘어나면서 고령 인구의 특성, 욕구도 다양해지고 있다”며 “공익형 활동의 사회적 가치는 높이고 민간기업과 협업하는 민간형 일자리를 확대해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는 ‘수요 맞춤형’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