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바이오'부터 챙긴 배경훈 장관 "국가전략 준비"

2025-07-21

“인공지능(AI) 바이오 기술 개발과 바이오 데이터 전주기 지원을 위한 국가적 로드맵을 제시하는 ‘AI 바이오 국가전략’을 준비하겠습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취임 첫 공식 행보로 AI 바이오 전략 수립에 착수했다. 이재명 정부 1호 공약인 ‘AI 3대 강국(G3) 도약을 실현하기 위해 AI 기술을 단순히 개발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바이오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산업 현장에 적극 확산하겠다는 게 그의 구상이다.

배 장관은 21일 서울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를 방문해 주요 바이오 벤처 기업 관계자들과 AI 바이오 분야 육성 방향을 주제로 간담회를 가졌다. 그는 이 자리에서 “AI는 단순한 연구 보조 역할을 넘어 연구자의 진정한 파트너”라며 “AI와 함께하는 첨단바이오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연구개발(R&D) 투자와 AI 컴퓨팅 인프라, 바이오 데이터 개방, 융합형 인재 양성, 규제개선 등 전 주기적 지원을 통한 생태계 조성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배 장관은 관련 대응을 위한 AI 바이오 국가전략 마련을 약속하며 “국민들은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신약과 개인 맞춤형 치료로 건강한 삶을 실현하고, 기후변화와 식량문제를 해결하는 등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사회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고 기대했다. 그는 이어 “과기정통부 장관으로서 첨단바이오뿐만 아니라 AI가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와 융합돼 혁신적 연구성과 도출이 가속화될 수 있도록 AI 도입과 활용을 폭넓게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배 장관은 또 AI 바이오 분야 R&D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고성능 AI 컴퓨팅 자원과 바이오 실험·제조 자동화 인프라를 확충하며 의료·바이오 데이터를 안전하고 유연하게 활용하기 위한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는 현장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정책에 반영하기로 했다. ‘AI+바이오’ 융합형 인재 양성, 병원·기업·대학 간 실질적인 협력 모델 구축 필요성도 제기됐다.

이날 서울바이오허브 방문은 배 장관이 이달 17일 취임한 후 가진 첫 공식일정이다. 배 장관은 앞서 AI G3 공약 이행을 위해 AI와 과학기술, 특히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시도되는 바이오와의 융합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지난해 구글 딥마인드 연구진에게 노벨화학상을 안긴 단백질 구조 예측 모델 ‘알파폴드’가 대표적이다. 배 장관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직후인 지난달 24일 “알파폴드가 나온 것도 기초과학 연구가 기반이 됐다”며 “기초과학과 AI 생태계를 연결하겠다”고 언급했다. 그가 이끌었던 LG AI연구원의 AI 모델 ‘엑사원’도 화학·바이오·제약 등 산업 특화 기능을 내세운 바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