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양뉴스] 서다민 기자 = 산업통상부는 올해 10월 주요 유통업체(오프라인 13개사, 온라인 10개사)의 오프라인 매출은 6.6% 증가하고 온라인 매출은 6.8% 증가해 전체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6.7% 증가했다고 26일 밝혔다.
오프라인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대형마트(9.3%), 백화점(12.2%), 편의점(0.7%)은 증가하고 준대규모점포(△1.7%)는 감소했다.
개천절, 추석, 한글날로 이어진 긴 연휴 영향, 늦은 추석 수요 및 국가 단위 통합 쇼핑축제(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기간 전사적 판촉전 착수 등으로 대형마트, 백화점 매출이 크게 늘었으며, 편의점은 4개월 연속 성장, 준대규모점포는 지난 8월 이후 3개월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
온라인 매출은 식품, 서비스(e쿠폰, 배달서비스, 문화·여행상품 등), 가전, 화장품 부문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상품군별 매출의 경우 으뜸효율 가전 구매비용 환급 사업 영향으로 가전부문(2.4%) 매출이 증가했고, 패션·잡화(4.7%), 식품(8.7%), 서비스(6.0%), 해외유명브랜드(19.5%) 등 전 부문이 성장했다.
오프라인의 매출 비중은 대형마트(0.2%p), 백화점(0.9%p)은 증가, 편의점(△1.0%p), 준대규모점포(△0.2%p)는 감소해 전체의 48.0%이며, 온라인은 0.1%p 증가한 52.0%를 차지했다.
오프라인 점포수는 전년 동월 대비 준대규모점포(2.7%)는 확대, 대형마트(△0.8%), 백화점(△3.4%), 편의점(△2.4%)은 축소됐다.
점포당 매출은 대형마트(10.2%), 백화점(16.2%), 편의점(3.2%)은 증가했으며, 준대규모점포(△4.3%)는 감소했다.
오프라인의 구매건수는 백화점(3.0%)은 증가, 대형마트(△1.2%), 편의점(△4.2%), 준대규모점포(△3.4%)는 감소해 전체(△3.6%)는 줄었다.
구매단가는 대형마트(10.6%), 백화점(9.0%), 편의점(5.1%), 준대규모점포(1.7%) 모두 증가해 10.6% 증가했다.
구매건수, 구매단가가 모두 증가한 백화점은 소비심리 회복, 긴 연휴의 영향으로 소비자는 백화점을 자주 찾고 1회 구매 시 고가품을 더 구매한 것으로 평가된다.





![[AI의 종목 이야기] 펠로톤, AI 신제품 출시 후에도 판매 부진](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