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러 나라가 모이면 불리는 순서가 있다. 올림픽 개·폐회식에선 올림픽 발상지인 그리스가 가장 먼저, 개최국은 맨 마지막에 입장한다. 다른 참가국 순서는 개최국이 정하기 나름이다. 영문 알파벳 순서가 일반적이지만 개최국 언어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베이징 올림픽 때는 중국어 간체자 획수가 적은 나라 순이었다.
외교 관계에선 여러 나라를 병렬할 때 자국과의 친소, 중요도, 역사적 배경, 정치적 고려 등을 두루 감안해 순서가 정해진다. 그래서 한국 바로 뒤에는 유일한 동맹인 미국이 위치한다. ‘한·미·일’ ‘한·미·중’ 식이다. 그런 미국도 ‘헌법상 대한민국 영토’인 북한이 끼면 그 뒤로 밀려 ‘남·북·미’로 표기됐다. 보수 정당·언론에선 ‘북·미’ 대신 ‘미·북’을 주로 쓴다.
동북아 3국인 한국·일본·중국을 표기하는 방식은 나라마다 다르다. 일본은 ‘일·중·한’, 중국은 ‘중·일·한’으로 쓴다. 한국은 관행적으로 ‘한·중·일’이라고 했는데, 오래 기간 써와서 많은 사람의 입에 붙은 순서이다. 그런데 윤석열 정부는 “‘자유의 연대’를 기초로 미·일과 긴밀하게 협력한다”며 ‘한·중·일’을 ‘한·일·중’으로 바꿨다. 실제로 일본에는 대놓고 밀착하고 중국은 멀리했다. 윤석열이 2023년 4월 대만을 국내 문제라고 여기는 중국을 향해 “대만해협 긴장은 북한 문제와 마찬가지로 전 세계적 문제”라고 언급하면서 한·중관계는 완전히 얼어붙었다. 그 여파는 지금도 남아 있다.
이재명 정부가 동북아 3국 표기를 ‘한·중·일’로 통일해 사용하기로 했다고 한다. 대통령실은 “가장 많은 사람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기로 통일해 불필요한 논란을 없애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과 중국 모두 한국에는 가까운 이웃이고 중요한 나라인데 윤석열이 ‘한·일·중’ 표기로 괜한 거리감을 조장했으니, 이전처럼 쓰겠다는 것이다. 이재명 정부가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시도하는 것과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정부가 필요에 따라 국가 호명 순서를 달리하는 것은 그럴 수 있다. 한·중·일이건 한·일·중이건, 중요한 것은 세 나라가 어떻게 지내는지가 아닐까. 서로 교류하고, 협력하며, 동북아의 평화·안정·번영을 위해 합심하는 ‘세 축’이 되길 바랄 뿐이다.
![[속보] 이재명 정부, 동북아 공식 표기 ‘한중일’로 원상 복구…혼재 논란 정리한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6/2H0H5KVM29_1.jpg)
![대만 놓고 중일 갈등 확산…지지율 올라도 웃지 못하는 다카이치[글로벌 왓]](https://newsimg.sedaily.com/2025/11/17/2H0HOIK419_1.jpg)
![[中日 충돌] 라이칭더 "中, 트러블메이커 되지 말라"](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단독] 이재명 정부 ‘두번째’ 독도방어훈련 12월22일 전후 실시[이현호의 밀리터리!톡]](https://newsimg.sedaily.com/2025/11/17/2H0HM96LO5_1.jpg)


![[뉴스핌 이 시각 PICK] 中-日 관계 험악...동북아 신냉전 오나 外](https://img.newspim.com/news/2025/11/17/2511171454031620.jpg)
![[인터뷰] 브런슨 사령관 "한국, 전략적 취약점에서 역내 군사 허브로"](https://img.newspim.com/news/2025/11/16/2511162016209960.jpg)
![[배양수의 Xin chào 1] 사이공(Sài Gòn)인가 서공(西貢)인가?](https://www.aseanexpress.co.kr/data/photos/20251146/art_17631619361994_4a7362.jpg?iqs=0.6702160863983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