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는 공공기관이 보유한 전국 체육시설과 회의실을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톡 등 민간 플랫폼으로도 예약할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는 오는 21일부터 중앙부처·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이 보유한 1200여개의 공공 체육시설 및 회의실을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톡 같은 민간 플랫폼으로 직접 예약할 수 있게 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공공자원 통합예약 플랫폼 공유누리와 민간플랫폼을 연계한 첫 사례다. 지금까지는 공유누리 홈페이지에서만 공공자원 시설 예약이 가능했지만, 이번 서비스로 국민이 일상적으로 쓰는 애플리케이션(앱)에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예약은 각 민간 앱에서 다른 시설·서비스를 예약하는 방식과 같다. 네이버 지도에서는 ‘풋살장’, ‘회의실’ 등 시설명을 검색하면 예약 가능한 자원이 지도에 표시돼 원하는 날짜와 시간대를 선택해 예약할 수 있다. 카카오톡에서는 하단의 ‘더보기’ ·‘예약하기’ 메뉴를 통해 자원을 검색한 후 날짜 등을 선택해 신청하면 된다.
예약 방식은 각 시설 여건에 따라 즉시 확정되는 방식과 담당자의 승인이나 일정 조율을 거쳐 예약이 확정되는 방식으로 나눠서 운영된다. 일부 유료 자원은 현장 결제 또는 계좌이체를 통해 비용 지불 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위치상 접근이 어렵거나 회원제로 운영되는 시설, 공사 중이거나 이용이 제한된 자원은 이번 대상에서 제외했다.
행안부는 공공자원을 민간 앱 등을 통해 간편하게 예약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반기에는 우리은행·기업은행 앱·웹에서도 예약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국민이 일상에서 공공자원을 더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공유누리 서비스를 개선하고 민간 플랫폼과 연계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