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광범의 미디어 비평] 정부광고가 유튜브로 간 이유

2024-10-09

국정감사가 사흘 전 시작됐다. 다음 달 1일까지 4주 동안 이어진다. 국회의원은 자신의 활동상을 유권자에게 알리는 절호의 기회다. 언론의 구미에 맞는 보도자료도 넘쳐난다. 과장되기 일쑤다. 언론의 냉정한 검증 필요성이 그만큼 커진다. 그런데 검증은 차치하고 기자가 의원실 자료를 선정적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국정감사 보도에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거대 플랫폼 유튜브가 조선일보로부터 범죄의 방조자라는 호된 질타를 받았다. 이 신문은 9월 26일 1면에 ‘정부 세금 안 내는 유튜브(구글 포함)에 연 674억 광고 줬다’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2023년 유튜브의 정부광고 수주액은 2022년 정부 광고 전체 1위였던 KBS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고 보도했다. 국내 플랫폼인 네이버와 다음을 합친 금액보다 많다고 했다. 수주액이 2019년 대비해 4년 만에 3배 이상 증가해, KBS(74.2%), 네이버(33.5%) 다음카카오(96.1%) 증가율을 크게 뛰어넘었다고 했다. 사실을 나열한 기사였지만 문제가 많다는 취지의 기사였다. 6면에는 ‘가짜뉴스 온상에 나랏돈 퍼준 정부’라는 자극적인 기사가 이어졌다. 기사의 지면 배치와 기사량을 감안하면, 대형 비리를 폭로하는 듯했다. 그러나 논리 전개가 허술해 설득력이 크게 떨어졌다.

무엇보다 정부광고라는 용어 사용에 신중하지 못했다. 정부광고라고 하면 수용자는 윤석열 정부가 집행한 정부광고로 오인할 수 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를 이끄는 정당이 같지 않을 수 있다. 대통령과 경기지사는 소속 정당이 다르다. 시장, 군수, 교육감도 그렇다. 정부광고라고 포괄적으로 지칭하면 언론의 지적이 타당해도 잘못의 주체가 모호해진다. 광고주별로 어떤 매체에 광고를 집행했는지를 세분해 지적해야 한다. 국민의힘 출신 시장인 서울시와 민주당 출신 경기도의 광고집행이 어떻게 차이가 나고 문제가 있는지 지적하지 않으면 언론의 문제제기를 ‘남탓’으로 돌리게 된다.

다음은 3000개가 넘는 정부광고 광고주는 소액 광고주라는 걸 유념해야 한다. 적은 예산으로 가급적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려 든다. 마케팅 기업인 메조미디어 조사에 따르면 국민 10명중 9명이 유튜브를 시청하고, 하루 평균 이용 시간은 97분이다. 기성 언론이 유튜브를 포함한 새로운 미디어에 대해 부정적 이미지만 지나치게 부각시키는 경향이 있다.

수용자의 미디어 이용 패턴은 유튜브를 떠나 살 수 없는 세상으로 변했다. 거의 모든 문제의 해결책도 유튜브서 먼저 찾는다. 잘 활용하면 어떤 미디어보다 다양하고 깊이 있는 콘텐츠로 넘쳐난다. 엘리트 성역이 해체된 언론환경을 실감하는 미디어가 유튜브다. 매출액이 투명하지 않은 건 정부광고 집행과 별건이다.

올해 발표된 권위 있는 두 조사만 살펴봐도 미디어 이용자들의 매체 선호는 확연히 변하고 있다. 언론진흥재단 수용자의식조사에서는 2023년에 TV로 뉴스를 보는 이들의 비율이 7% 이상 떨어졌다. 네이버나 다음 같은 포털을 통한 뉴스 이용도 2017년 조사가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70% 아래로 주저앉았다.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는 2023년 한국인들이 뉴스를 이용하는 플랫폼 1위가 유튜브이며, KBS의 신뢰도가 추락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정부광고에 대한 조선일보의 과도한 비판은 무리가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