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각 실패가 이어져온 MG손해보험에 대해 금융당국이 결국 ‘가교보험사’ 체제로의 전환을 추진하면서 노조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일각에선 파산에 준하는 사실상 청산 수순이란 평가도 나온다.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이하 사무금융노조) MG손보지부는 1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금융위원회는 일방적인 신규 영업정지 명령과 가교보험사 설립 검토를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금융위원회는 오는 14일 정례회의에서 MG손보의 일부 영업정지와 함께 부실 해소를 위한 가교보험사 설립 안건을 상정할 예정이다. 앞서 당국은 이달 2일 MG손보에 ‘일부 영업정지 예정 사전 통지서’를 전달하고, 12일까지 의견 제출을 요청한 바 있다.
가교보험사는 파산 위기의 금융회사 자산·부채를 임시로 넘겨받아 관리하는 일종의 중간 단계 회사다. 인수자가 나타나기 전까지 기존 계약 유지와 보험금 지급 등 최소한의 기능만 수행하며, 신규 보험 영업은 전면 중단된다. 이 경우 MG손보 인력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다.
이에 노조 측은 금융위의 조치가 사실상 MG손보에 대한 ‘사형선고’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노조 측은 "보험사는 신계약 영업을 통해 계약을 선순환시키며 유지·운영·발전하는 구조인데, 신계약 체결 영업을 정지시키는 것은 사형선고와 동시에 집행을 단행하는 극악한 처사"라며 "현재 진행 중인 '일부 영업정지'와 '폐쇄형 가교보험사' 검토를 중지하고 MG손보를 정상매각해 노동자와 영업가족, 그리고 125만 가입 고객을 보호할 수 있는 올바른 선택을 할 것을 간절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재진 사무금융노조 위원장은 "메리츠화재가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포기한 지 두 달도 안 된 시점에 폐쇄형 가교보험사 설립을 논의하는 것은 무책임하다"며 "내일 정례회의에서 관련 안건이 통과되면 노동권을 행사해 최소한의 근로도 제공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동진 손해보험업종본부장은 "MG손보의 부실은 회계기준 변경과 급격한 금리 인상이라는 외부 요인에 따른 것이지 내부 경영 실패로 인한 것이 아니다"라며 "정상 매각을 통해 고객과 직원 모두를 살릴 수 있음에도 금융당국은 계약 이전만을 고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이와 함께 총파업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초강경 대응에 나설 뜻을 내비쳤다. 노조 측은 "보험사는 신계약을 통해 조직을 선순환시키는 구조"라며 "신규 영업을 중단하겠다는 건 사업의 뿌리를 자르겠다는 것과 같다"고 주장했다.
금융위는 MG손보의 부실이 장기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하루빨리 정리 절차에 착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노조가 강경 대응에 나선 데다, 가입자 수가 125만 명에 이르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처리 과정에서 적잖은 사회적 갈등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