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정보 고속도로 새로 깐다…2029년 통합 교류 시스템 가동

2025-10-20

정부가 진료정보교류, 건강정보고속도로 시스템 통합을 골자로 한 의료정보 전달체계 고도화를 추진한다. 의료기관 간 데이터 교류 확대와 함께 개인-의료기관 간 의료영상정보 전송 편의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20일 정부기관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2029년까지 진료정보교류-건강정보고속도로 시스템을 통합한 '디지털의료정보교류시스템(가칭)'을 구축할 예정이다. 내년에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실시해 구체적인 방향과 예산 등을 책정한 뒤 2027년 구축에 착수, 2029년 가동이 목표다.

디지털의료정보교류시스템은 기존 진료정보교류 포털 '마이차트'와 건강정보고속도로(마이헬스웨이) 포털을 합친 대국민 통합 서비스 플랫폼이다. 의료기관 간 엑스레이 영상 등 진료정보를 교류하는 창구와 개인건강기록(PHR) 등을 확인·전송하는 채널을 하나로 합쳐 통합 포털에서 제공하는 게 핵심이다.

시스템이 구축되면 통합 포털에서 개인의 진료정보를 원하는 병원에 전송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회송 현황이나 진료현황, 건강상태 등 다양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복지부는 인공지능(AI)을 접목, 의료정보나 진료현황을 요약해서 보여주는 부가기능도 탑재할 계획이다.

정부가 두 개의 시스템을 통합하는 것은 운영·관리 효율성을 높이고, 개인 의료정보 전송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진료정보교류, 건강정보고속도로 사업은 모두 병원 간 의료정보를 주고받는 게 핵심이지만 별도로 운영해 왔다. 이런 상황에서 진료정보교류시스템 노후화까지 겹치면서 재구축보다는 통합에 중점을 두고 논의, 디지털의료정보교류시스템 개발에 나서게 됐다. 시스템 통합에 따라 운영 효율성 제고, 비용 절감뿐 아니라 기존 건강정보고속도로 시스템에선 불가능했던 의료영상정보 전송도 진료교류시스템과 통합돼 개인의료정보전송 범위도 확대됐다.

정부는 의료정보 전송 두 축을 통합하는 동시에 참여의료기관 확대도 검토 중이다. 2017년 시작한 진료정보교류 사업은 10년 가까이 됐지만 참여기관은 전체 의료기관의 25% 수준인 약 9800곳에 불과하다. 건강정보고속도로 사업 역시 참여 의료기관이 1200여 곳에 그쳐 확대가 절실한 상황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시스템 통합으로 운영 효율성, 이용자 편의성이 높아져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통합 사업과 함께 참여 기관을 늘리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