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의 메이저리그 - PGA 투어를 가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5번 프리웨이를 타고 북쪽으로 30분가량 달리다가 팔로마 에어포트 로드로 빠져 몇 분 더 들어가면 ‘골프의 실리콘밸리’ 칼즈배드에 닿는다. 야자수 우거진 캘러웨이 본사에서 만난 한국인 정하중 매니저는 “골프는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났지만, 혁신은 이곳에서 나온다. 칼즈배드 없이는 골프를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캘러웨이가 1980년대 초 본사를 옮겨오면서 칼즈배드에 골프산업 클러스터가 생겼다. 칼즈배드 상공회의소 브렛산첸바흐 CEO는 “골프회사라면 겨울에 추운 일리노이보다 연중 골프가 가능한 캘리포니아를 택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타이틀리스트, 테일러메이드, 코브라·푸마 등 주요 업체가 속속 입주해 산업 생태계가 형성됐다. 온화한 기후와 바닷바람 덕분에 실외 테스트·연습 환경이 뛰어나고, 공항과 항만이 가까워 아시아 지역의 부품 공급망에 대한 접근성도 좋다. 인근에 항공우주, 첨단소재 기업도 많아 엔지니어와 기술 확보도 쉽다. 현재 샤프트·시뮬레이터·액세서리 등 110여 곳의 골프 관련 회사가 모여 시너지를 낸다. 한때 헤드 소재로 쓰인 티타늄 때문에 ‘티타늄 밸리’라는 별명도 얻었다.

캘러웨이를 중심으로 코브라·푸마가 2분, 테일러메이드가 3분, 타이틀리스트가 5분 거리다. 본사와 볼 연구센터가 매사추세츠주에 있는 타이틀리스트는 클럽 R&D·퍼포먼스 센터를 칼즈배드에서 운영한다.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시즌 초(1~2월) ‘웨스트코스트 스윙’ 기간 프로선수들이 상시 피팅·테스트를 받는다. 캘러웨이 건물에는 본사와 R&D 시설이 있다. 정하중 매니저는 “캘러웨이는 경쟁사보다 많은 제품을 만들기 때문에 R&D 인력이 많다. 이 정도까지 해야 하나 싶을 정도로 정교하게 연구하며 검수 과정도 치밀하다”고 말했다. 올 초 기자가 방문했을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손녀 카이가 테일러메이드에서 피팅을 받고 있었다.

빅3 회사 모두 최첨단 드라이빙 레인지를 갖췄다. 캘러웨이는 칼즈배드 입구에 창업자 이름을 딴 ‘일리 캘러웨이 퍼포먼스 센터’를, 타이틀리스트는 인근 오션사이드에 ‘타이틀리스트 퍼포먼스 인스티튜트(TPI)’를, 테일러메이드는 아비아라 골프클럽 내에 ‘테일러메이드 아비아라 퍼포먼스 센터’를 운영한다. 피팅 시설 외에도 풀 사이즈 홀, 전 세계 잔디와 모래를 갖춘 방대한 쇼트게임 구역을 자랑한다.
칼즈배드에서 15분 거리인 ‘스코티 캐머런 골프 갤러리’는 퍼터 명장이 작업하고 전시하는 공간으로, 투어 프로·고객 피팅과 연구·커스텀 숍을 함께 운영한다. 일본인 관광객이 북적거렸다. 좁은 마을에 업체가 빽빽이 있어 교류가 활발하다. 이탈리아 밀라노의 패션업체들처럼 칼즈배드에서는 골프용품사들이 정보를 주고받으며 유행을 주도한다.
경쟁도 치열하다. 테일러메이드에서 잔뼈가 굵은 마크 킹은 1998년 캘러웨이 골프공 사업 부사장으로 스카우트됐다가 이듬해 테일러메이드 사장으로 다시 스카우트됐다. 캘러웨이는 영업비밀 유출과 경쟁 제한 위반을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자사 직원들에 대한 자부심도 강하다. 캘러웨이 홍보담당 제프 뉴튼은 “우리 직원들이 가장 열정적”이라며 “코로나 이전까지 업체들이 직원 골프대회를 했는데 캘러웨이의 실력이 가장 뛰어났다”고 자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