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연간 수십만 대의 휴대전화를 자체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며 기술력을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20일 보도에서 평양 만경대구역에 위치한 진달래손전화기공장이 “정밀도와 생산성이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보도했다. 이 공장은 2018년 3월, 연건축면적 6087㎡ 규모로 설립됐다.
조선신보는 “국내에서 자체로 설계하고 제작한 손전화기 ‘진달래3’ 생산으로 첫걸음을 뗀 공장은 수십 종의 지능형, 기능형 손전화기들을 생산하고 있다”며 생산 다각화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액정현시기 손접촉판(액정 터치스크린) 접합공정의 무진급수는 10급이며 생산 현장들의 공기청결도는 국제적 수준에 부합된다”고 소개했다.
스마트폰 액정처럼 고정밀 제품을 제조할 때는 공기 중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해 ‘클린룸’ 환경이 필수적이다. 북한이 언급한 ‘무진급수 10급’이 정확히 어떤 수준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공장 환경을 국제 수준으로 부각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국제 표준 ‘ISO 14644-1’은 공기 부피당 입자 수를 기준으로 청정도를 클래스 1부터 9까지 구분한다.

북한 정보통신(IT) 기업 연풍상업정보기술사가 운영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만물상’에 따르면 이 공장은 “년간 수십만대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손전화기 생산과 관련한 액정표시장치(LCD) 생산 공정, 주기판(메인보드) 조립공정 등 흐름선화된 생산 공정들과 제품 포장 공정, 검사 공정이 일식으로 꾸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북한의 주장에 의문을 제기한다. 미국 싱크탱크 크림슨센터의 마틴 윌리엄스 연구원은 지난해 38노스에 게재한 보고서 ‘2024년 북한의 스마트폰’에서 북한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은 모두 중국 기업이 생산하며 북한 업체들은 이를 주문자상표부착(OEM) 방식으로 공급받는다고 분석했다. 북한이 스마트폰을 설계부터 생산까지 독자적으로 수행한다는 주장은 과장됐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