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혁, 구조조정과 혁신을 동시에 추진해야 하는 대한민국이 코스피 4000에 도취해 샴페인을 터뜨릴 때가 아니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11일 코스피 랠리가 장기적으로 이어지려면 상장사를 대상으로 한 밸류업 프로그램을 다시 가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스피 4000 시대에 자칫 들뜬 분위기 속에서 기업거버넌스 개혁 동력이 약화될 경우, 2026년 상반기 반도체 이익 정점론과 외국인 매도세가 맞물리며 급락장이 펼쳐질 수 있다는 경고다.
포럼은 이날 ‘코스피지수에 대한 거래소 이사장 설레발 경계한다’는 제목의 논평을 내고 “코스피 5000 돌파 후 2026년 지수 6000 또는 3000 모두 가능한 시나리오다. 만약 반도체 이익 정점이 2026년말~2027년초면 코스피는 수개월 내 피크아웃할 것”이라며 이러한 우려를 밝혔다.
이어 포럼은 “상법개정으로 물꼬를 턴 기업거버넌스 개혁 모멘텀이 둔화하고 후속 입법들이 매우 높아진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면 반도체 이익 정점론이 대두할 것”이라며 “지금은 긴장해야할 시점이다. 개혁, 구조조정과 혁신을 동시에 추진해야 하는 대한민국이 코스피 4000에 도취해 샴페인을 터뜨릴 때가 아니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특히 이날 오후 한국거래소가 개최하는 ‘코스피 5000 시대 도약을 위한 세미나’를 겨냥해 거래소 이사장을 비판했다. 포럼은 “실속없는 홍보성 행사를 연이어 주최하기보다는 아직도 밸류업 계획을 공시하지 않은 삼성전자 최고경영자(CEO)라도 직접 만나 설득하는 것이 낫다”고 꼬집었다. 불과 2주 전인 지난달 30일 ‘코스피 5000시대 도약을 위한 시장전문가 간담회’가 열린 데 이어 유사한 행사가 반복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또 “밸류업은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면서 “작년 5월 외부 전문가들이 모여 우수한 모범안을 만들었지만 거래소의 리더십과 실행력이 부족해 기대에 한참 못 미치는 결과를 냈다”고 비판했다. 구체적으로 “국내 1위 기업 삼성전자는 밸류업을 아직도 발표하지 않았고 LG전자를 중심으로 LG상장사들은 F학점 수준의 부실한 계획을 공시했다”면서 “정 이사장이나 거래소 임원들이 얼마나 이들 기업 경영진을 직접 만나서 진실되게 밸류업 계획 발표를 설득했는지 궁금하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이재명 정부는 3차 상법개정이 국회 문턱을 통과하고 스튜어드십 코드 개정 논의가 본격화되는 시점, 아마 2026년 1분기에 상장사를 대상으로 밸류업 프로그램을 재가동해야 한다”면서 “이번에는 강제성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어 “모든 상장사가 참여하고,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와 밸류업 핵심 이슈인 주주권리, 투자자 보호, 이사회 독립성, 자본비용, 자본배치 등 핵심 개념이 반드시 개별회사 계획에 포함돼야 할 것”이라며 “Top-down(국회 입법)과 Bottom-up(개별 상장사 밸류업 계획 발표 및 실천)이 결합되면 대한민국 자본시장은 대도약을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동섭 국민연금 수탁자책임실장 "스튜어드십 코드 개정 필요" [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11/2H0EWAFWRX_1.jpg)


![[사설] 日 대기업도 법인세 인하, 韓은 증세·규제·옥죄기법 ‘올가미’](https://newsimg.sedaily.com/2025/11/11/2H0EU3VMP5_1.jpg)

